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고단한 일상의 피난처 '광주호'

입력 2019.03.15. 14:14 수정 2019.03.15. 18:13 댓글 0개
[광주스토리100]광주호
광주호 전경-담양 고서와 남면, 광주 북구에 걸쳐 있는 인공호수로 1976년 준공되었다. 저수량은 1,800만t이며 인근에 가사문학 유적인 식영정, 환벽당, 소쇄원 등이 자리하고 있다.

광주호는 광주 북구의 끝자락 충효동과 담양 남면의 경계에 있다.

광주호와 정면으로 마주하고 싶다면 광주호 호수생태원을 찾으면 되고, 광주호의 긴 물줄기를 따라 걷고 싶다면 한국가사문학관에서 담양 고서 방향으로 조성된 가사문학로를 따라 걸으면 된다. 어느 쪽에서 보아도 무등산을 등진 호수의 전경을 보는 이의 마음을 가득 채워준다. 

무등산 정상에서 흘러내린 물이 삼밭실에 모여 원효 계곡과 주검동 계곡을 따라 충효동에 이르러 호수를 이룬다. 즉, 무등산 상봉에서 9㎞의 원효 계곡을 따라 흐르던 물줄기가 광주호에 이르는 것이다.

광주 도심에서 차를 달려 20여분 정도면 산과 호수, 그리고 옛 문인들의 시심이 가득한 들판이 펼쳐진다.

어렵지 않게 일상을 벗어나 훌쩍 떠나올 수 있는 광주호 주변은 광주 사람들의 숨구멍이자 숨고 싶은 다락방이다. 팍팍한 현실에서, 고단한 일상에서 잠시 넘어가 쉴 수 있는 참 좋은 피난처다.

토종붕어 대신 베스 같은 외래종이 점령을 한지 오래지만 광주호는 강태공들에게도 가장 부담없는 낚시터다. 그래서 광주호 인근의 음식점에 밥을 먹으로 왔다가도 차 트렁크에서 낚시도구를 꺼내는 일상 강태공들이 종종 보이는 곳이기도 하다. 

광주와 담양의 들녘을 적시다

광주호는 담양호, 나주호, 장성호 등과 함께 영산강유역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영산강 지류인 고서천을 막아 1976년에 준공됐다. 당초에는 계획에 없던 댐이었으나 무등산 원효계곡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이 많아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뒤늦게 건설됐다. 1,740만 톤의 물을 저장하는 광주호는 담양호, 나주호, 장성호보다 규모는 작지만 당시 농업용수 댐으로는 전국에서 8번째로 큰 인공호수였다. 한여름 불볕더위와 가뭄으로 들판이 쩍쩍 갈라지면 광주호는 댐의 빗장을 열어 광주 동북부의 들녘과 담양군 고서면, 창평면, 봉산면, 무정면 일대의 들판을 적시며 여문 곡식을 키워냈다. 

특히, 광주댐은 전국 최초로 표면취수 시설을 갖춘 댐이다. 이는 따뜻한 물만을 내보내기 위해 수면에서 2m 이내의 표면수만 흘려보낼 수 있도록 특수 취수탑을 설치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에 저장된 물은 수면에서 1.8m씩 내려갈 때마다 수온이 1 씩 내려간다고 한다. 따라서 차가운 물을 흘려보내면 벼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냉해까지 입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댐에 자동 취수 시스템을 장착한 것이다. 이로써 광주호는 연간 5,300톤의 쌀 생산에 기여하는 명실공히 남도의 젖줄이 되고 있다. 

광주호 호수생태원-지난 2006년 조성된 호수생태원은 수생식물원, 생태연못, 목재담방로, 전망대, 수변관찰대 등이 있으며  버드나무 군락지와 습지보전지역이 있다. 자연생태학습장이자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

생명이 살아 숨 쉬는 호수생태원! 

광주호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호수생태원'이다. 2003년 광주호 상류에 생태원이 생긴 이후, 이곳은 아름다운 호반공원으로 탈바꿈해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 찾는 명소가 되었다.

들어선 순간 드넓은 공원과 푸른빛 일렁이는 광주호가 한눈에 들어온다. 시원한 강바람에 절로 가슴이 탁 트인다. 호수를 바라보며 발길을 옮기면 천천히 돌아가는 물레방아가 운치를 더한다.

그 주위로 진달래와 개나리, 자산홍, 철쭉, 수국 등 계절별로 형형색색의 야생화가 눈길을 끈다.  

잔디공원을 지나 갈대가 우거진 늪지로 향하면 수상 데크가 설치돼 있어 호수 위를 걸을 수 있다. 이곳은 습지보전지역으로 갈대숲 사이에 각종 새들이 알을 부화하는 모습과 이제 막 껍질을 깨고 나와 털이 보송보송한 어린 새들의 지저귐도 들을 수 있다.

물이 찰랑이는 호수로 향하면 물속에 뿌리를 내린 수십년 된 왕버들이 신비로운 느낌을 자아낸다. 버드나무가 우거진 호수 위에 서서 시원하게 펼쳐진 광주호를 바라보면 어느새 다른 세상에 온 듯, 온갖 시름과 번뇌를 잊게 된다.

이 아름다운 풍경 속에서 어찌 번잡한 세상사를 생각할 수 있겠는가. 비가 온 뒤, 물안개라도 피어오르면 마치 동화 속 환상의 세계에 와 있는 듯하다. 청송의 주산지가 전국적인 명소로 아름답다고 하나 광주호 호수생태원도 그에 못지않다. 주산지는 호수에 들어가지 못하고 임을 그리워하듯 강가에서만 바라봐야 하지만 이곳은 호수 위를 걸으며 그 풍경을 음미할 수 있으니 이 또한 신선의 경지다. 

이러다보니 호수생태공원은 주말이면 가족들의 나들이 장소로,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 예비 신랑 신부의 웨딩포토 장소로 인기다. 평일 또한 자연학습을 나온 유치원생들이 많다.

특히, 초록에 지친 여름, 물안개라도 피어오르면 전국의 사진가들이 몰려드는 출사지로도 인기다. 생태계의 다양한 동․식물을 품어 안고 있는 광주호 호수생태원은 동․식물들에게는 안락한 서식처가, 사람들에게는 마음을 힐링할 수 있는 휴식처가 되고 있는 것이다. 

가사문학과 충의열사를 만나는 길, 그 중심에 광주호가 있다.

광주호 주변에는 역사문화 유적지가 많다. 광주호 상류 담양 방면으로는 가사문학의 산실이라 할 수 있는 정자들이 쭉 늘어서 있다.

광주호 건너에는 송강 정철이 가사문학을 꽃피운 식영정이 호수를 내려다보고 있고 상류에는 나주목사를 지낸 김윤제가 후학을 양성했던 곳이자 정철과의 첫 만남이 이뤄졌던 환벽당이 있다.

여기에서 100m쯤 올라가면 억울하게 죽은 김덕령 장군의 원혼을 달래기 위해 지은 취가정이, 그리고 조선시대 정원문화의 진수를 보여주는 소쇄원, 고려의 충신 전신민이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며 은거했던 독수정 등이 자리하고 있다.

광주호 주변에 늘어서 있는 이 정자들은 가사문화권으로 불리며 옛 선비들의 풍류와 정신을 느낄 수 있는 곳들이다. 

반면, 광주호에서 광주 방면의 충효동으로 향하면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민족의 영웅, 김덕령 장군을 기리는 충장사와 그의 동생 김덕보가 김덕령의 억울한 죽음 이후, 속세를 떠나 은거했던 풍암정이 있다.

또한 고경명, 김덕령 장군과 함께 광주의 3충신으로 불리는 전상의 장군을 모신 충민사도 자리하고 있다. 이쪽은 충의열사를 만날 수 있는 길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광주호를 중심으로 담양 쪽으로는 조선시대 가사문학의 산실이었던 정자들을, 광주 쪽으로는 나라와 백성을 위해 혁혁한 공을 세운 충의열사들의 자취를 느낄 수 있다. 한 마디로 가사문학길과 충의열사길, 그 중심에 광주호가 있는 것이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