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월드컵 배달 특수' 외식업계 기대? 걱정!

입력 2018.06.18. 14:58 수정 2018.06.18. 21:22 댓글 0개
자영업자들 최저임금 인상 등 부담에
배달원 직고용 대신 대행업체 이용↑
배달료 명목 소비자 부담 ‘부메랑’ 우려도


#장면 하나
채명석씨는 배신감이 들었다. ‘12000원 이상 주문 시 배달 가능’ 단골 자장면집의 ‘변심’ 때문이다. 안 그래도 그간 최소 배달 가능 금액인 1만원을 맞추느라 마음에도 없는 ‘세트’를 주문해 먹곤 했는데…. ‘음식이 도착하면 쓴 소리라도 해야지’ 싶었지만 정작 채씨네 벨을 누른 이는 주문한 자장면집과 상관없는 전문 업체 배달직원이었다.

#장면 둘
포장이 허술했는지 배달시킨 음식이 망가져 기분이 상한 김소은씨. 가게에 항의전화를 걸었다 더 황당한 경험을 했다. “죄송합니다만 배달하다 그런 것 같은데 그건 배달업체에 항의하세요”라는 답변을 들어서다. 자신들은 배달 대행업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책임이 없다는 입장이었다.

#장면 셋
배달 오토바이가 쏜살같이 도로를 가로지른다. 그런데 어딘가 좀 낯설다. 대형 패스트푸드나 피자 전문점 배달원도 아닌 것 같은데 유니폼을 갖춰 입었다. 오토바이에 붙여진 상호명도 예사롭지 않다. ‘부*’, ‘바로*’, ‘제트*’, ‘생각**’ 등등. ‘요즘 퀵서비스 잘 나가네’ 싶지만 실은 ‘00반점’, ‘00치킨’, ‘00야식’을 대신해 음식을 배달하는 중이다.

배달대행 업체가 급속도로 늘고 있다. '생각대로' 제공 

맛집, 먹방에 대한 관심으로 음식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그간 퀵서비스로 활용되던 오토바이 배달대행 업체가 배달음식 분야로까지 영업력을 확대했다. O2O(Online to Offline) 주문 플랫폼 확산, 최저임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배달원 직고용에 대한 부담이 커진 점도 배달대행 서비스 시장 확대를 부추겼다는 분석이다.

배달대행업 인기

최저임금 인상이 배달 업계 고용형태까지 변화시키고 있다. 배달원 직접고용에 따른 인건비 부담 탓에 모바일 앱을 기반으로 한 온오프라인연계(O2O) 방식으로 배달 형태를 전환하고 있는 자영업자가 늘고 있는 것.

실제 광주/전남 구인·구직 포털 사이트 '사랑방JOB'에서도 그 변화 추이를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배달원 고용 구인 광고 주체가 개별 자영업자였던 예전과 달리 최근에는 직고용 구인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대신 배달대행 전문업체에서의 구인 광고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배달원을 직접 고용했을 시 지출되는 비용은 시간당 1만5천원 수준이다. 오토바이 운영에 따른 세금과 유류비, 보험료 등을 포함해서다. 이마저도 주문량 또는 시간 당 배달가능 횟수가 제한적이다 보니 업주로서는 운영 부담의 요인으로 작용될 수 밖에 없다.

반면 건당 수수료 방식으로 정산하는 O2O는 배달 1건 당 3600원 내외의 부담만 하면 된다. 직고용과 비교해 비용이 덜 드는데다 주문이 몰리는 시간에만 이용하면 돼 더 많은 업소들이 배달대행 방식을 선택하는 추세다.


자영업자의 고민

자영업자들이라고 배달대행업 이용이 마냥 반가운 것은 아니다.

배달 수수료는 평균 3600원 수준, 이마저도 주중 금액이다. 야간 배달시 500원, 1.5km 이상일 경우 500m당 550원의 금액이 추가된다. 비나 눈이 내리는 등 기상이 좋지 않은 날에도 웃돈을 얹어줘야 한다. 배달대행 수수료가 점점 오르는 추세인 점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 배달앱을 통해 주문이 이뤄지면 건당 1000원가량의 수수료도 감당해야 한다. 수수료, 부가세, 배달대행까지 더하면 음식값의 30% 이상이 수수료로 지출된다는 게 자영업자들의 주장이다.


◇결국 소비자 몫

음식 배달 서비스 구조 변화는 단순한 사회현상으로 그치지 않는다. 고스란히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배달료를 따로 부담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주문 최소금액 상향, 음식 값 인상 등 그 영향이 소비자에게 직간접적으로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치킨업계 1위인 교촌치킨은 배달 운용비용의 증가를 이유로 배달비 유료화를 결정했고, 배달앱을 통해 콜비를 추가로 받는 경우도 늘고 있다.

주문 최소금액 조정 사례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이는 사실상 가격 인상이나 다름없는 상황이다.


배달원에 대한 허술한 관리시스템도 문제다.

배달대행 서비스 요청 건수는 늘고 있는 반면 배달원 신상확인 등 관리구조는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배달대행 종사자 중 단기 채용된 이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소규모 배달대행업체의 경우 무점포 형태로 알음알음 일감을 받아 운영되는 경우도 적지 않아 정규 배달원을 고용하는 사례는 많지 않다.


정부 기준 마련 박차

배달대행업 활성화에 따른 각종 사회적 문제가 제기되면서 정부는 기준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국토교통부는 배달대행업의 적정설립과 안전, 고용기준 마련을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연말까지 목표로 최소 설립기준을 마련해 시장안정과 고용 활성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박현 사랑방잡(JOB) 팀장은 “배달 대행업체의 성장 속도는 앞으로 더 빠를 것으로 예측된다”며 “소비자, 자영업자, 배달원 등 모두의 보호를 위해서라도 배달업계 기준 마련 및 근로자 근무 환경 조성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통합뉴스룸=주현정·이준훈·김경인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