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축제 아닌 축제는 끝나고, 남겨진 것은

입력 2018.06.13. 14:42 수정 2018.06.13. 15:05 댓글 0개
구길용의 무등칼럼 뉴시스 광주전남본부장

축제는 끝났다. 치열했던 지방선거의 대장정은 마무리되고 이제는 다시 일상이다.

되돌아보면 선거가 과연 축제이고, 민주주의의 꽃이냐라는 강한 의문이 남는다. 당선자에게는 상처뿐인 영광이, 낙선자에게는 돌이킬 수 없는 회한이 남겨진 것은 아닌지 냉정히 따져볼 일이다. 무엇보다 지방선거의 주인이 돼야 할 유권자들이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민주주의를 실현할 장이 만들어졌던가라는 지점에서 우려가 크다. 오히려 가장 큰 피해자가 주민이고, 유권자가 아니었을까라는 판단이 앞선다.

선거가 선거답지 못하고, 축제가 축제답지 못했던 요인은 여럿이다. 이른바 ‘기울어진 운동장론(論)’이 말해주듯 더불어민주당의 일방적인 독주가 가져 온 오만함이 유권자들의 무관심을 자아냈다. 국정운영의 주체로서 집권여당이 갖는 무게감은 찾아볼 수 없었다. 호남에서 ‘막대기만 꽂아도 된다’는 식의 전횡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

경선과정에서부터 ‘원칙 없는 고무줄 잣대’를 들이대고 밀어붙이기식으로 중앙당의 논리를 강요했다. 지역민들의 선택은 안중에도 없었다. ‘경선은 곧 본선, 공천은 곧 당선’이라는 집권여당의 오만함이 곳곳에서 묻어났다. 오죽했으면 ‘호남을 주머니 속 공깃돌 정도로 취급하고 있다’는 비아냥이 나왔을까. 따지고보면 민주당에 대한 지지라는 게 문재인 대통령의 후광효과에서 비롯된 것인데도 눈 앞의 들보를 보지 못했다.

문제는 능력도, 인물도 되지 않는 일부 민주당 후보들이 ‘문재인 효과’와 당의 높은 지지도에 힘입어 당선이 되고, 4년 자리를 유지한다는 데 그 심각성이 있다. 그들을 보며 4년을 버텨야 하는 것은 후회를 넘어 참담함이다.

이번 선거가 정책선거로 가지 못하고, 전례없는 네거티브 선거로 치러진 것도 축제의 취지를 흐리게 한 또하나의 요인이다. 수도권에서 ‘여배우 스캔들’이나 ‘이부망천(이혼하면 부천가고 망하면 인천간다)’ 논란이 선거판을 뒤흔들었다고 하는데, 광주·전남 지역도 만만치 않았다. 흑색선전이나 가짜뉴스는 기본이고 금품 제공, 미투 공방, 심지어 혼외자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선거를 역대 최악의 진흙탕싸움으로 변질시켰다. 특정 지역을 꼬집을 필요도 없이 거의 모든 선거구에서 이전투구 양상이 벌어졌다.

정책이나 공약을 앞세운 긍정의 경쟁력이 없다보니, 후보들마다 품격 떨어지는 네거티브 전략에만 몰두했다. 지역발전과 관련해 우리 앞에 놓인 숱한 어젠다는 어디 가고, 선거와는 무관한 흠집내기만이 판을 쳤다. 선거판 자체가 가공의 막장드라마를 방불케 했다. 이를 바라보는 유권자들의 피로감도 적지 않았다. 고소고발 사태로 얼룩졌고 후보자들 사이에 남겨진 생채기는 심각한 후유증까지 예고하고 있다. 앞으로의 선거도 그 범주, 그 정치시스템 안에서 변하지 않는다면 큰 일이 아닐 수 없다

지방선거의 열기가 예전같지 않았던 데는 한반도 정세를 둘러싼 대형 이슈들도 한몫 했다.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으로 이어진 ‘세기의 담판’이 지방선거의 크고작은 이슈들을 잠식해 버렸다. 말 그대로 블랙홀로 작용했다. 선거 하루 전까지 국민들을 TV 앞으로 이끌었던 것은 지방선거가 아니라 싱가폴의 멋진 휴양지에서 벌어진 북미정상회담이었다.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유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이보다 더 중요한 화두가 있을까마는 지방선거의 이슈가 비집고 들어갈 틈은 없었다는 데 아쉬움이 남는다.

여기에 교육감이나 기초의원들에 대한 충분한 정보 없이 ‘깜깜이 선거’로 치러졌다는 점도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국회의원 재선거까지 포함하면 8개 선거가 한꺼번에 치러지다보니 불가피한 측면도 없지 않지만 풀뿌리 지방자치의 일꾼을 이리 소홀히 뽑아서야 되겠는가싶을 정도다. 투표를 마친 상당수 유권자들이 기초의원은 고사하고 교육감의 면면조차 모른 채 기표했다고 말한 것이 이를 반증한다. 그나마 기초의원은 정당을 보고 찍었지만 교육감은 그조차 없어 곤란했다는 하소연도 있다.

지방선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지방의 소(小)통령이라고 불리는 광역단체장을 비롯해 기초단체장, 지방의원까지 어느 한 자리 소홀한 곳이 없다. 그런 지역의 일꾼을 뽑는 소중한 절차가 선거다. 지방의 리더 그들은 누구인지, 지방권력은 왜 중요한지, 지역발전을 위해 어떤 인물을 뽑아야 할 것인지, 진지한 고민 속에 유권자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뒷받침돼야만 명실상부 축제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의 정치는 그리 녹록지 않다는 것을 이번 지방선거는 여실히 드러냈다. 유권자들의 민도는 충분히 성숙했는데, 정치인들이 이를 따르지 못하는 형국이다. 대한민국 정치의 현주소가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이제 선거는 끝났다. 당선자에게는 축하를, 패자에게는 위로를 전한다. 그에 앞서 열악한 정치환경 속에서도 현명한 한 표를 행사한 유권자들에게 무한한 박수를 보낸다. 그들이 있어 지방자치와 민주주의는 또 발전할 수 있다.

정치권은 그들의 목소리를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