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남북정상회담 D-8] '역사적 순간'…분단 이후 첫 남북 정상통화 임박

입력 2018.04.19. 05:43 수정 2018.04.19. 09:06 댓글 0개
/첨부용/ 남북 북한 정상회담 문재인 김정은 사진

【서울=뉴시스】김성진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이의 역사적인 첫 정상통화에 대한 윤곽이 잡히고 있다.

남북은 정상회담 D-7인 20일 핫라인(Hot line·직통전화) 구축 완료를 목표로 추진 중이다. 청와대는 이르면 20일 시범통화를 한다는 방침이다.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은 17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정상 간의 핫라인은 실무적으로는 20일께 연결될 것으로 알고 있다"며 "아마 그때쯤 시범통화가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서 7일과 14일 남북이 두 차례 만나 통신 실무회담을 개최했고 지난 2000년 남북 정상 간 첫 핫라인 구축 당시 4일 만에 이뤄진 점 등을 미뤄 봤을 때, 20일까지 핫라인 구축을 완료하는 데 기술적인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임 실장도 "통신 쪽은 이미 두 차례(실무회담)를 마쳐서 어느 정도 돼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정상통화를 하게 될 경우, 분단 이후 첫 남북 정상 간 통화가 된다.

또 국제사회 어느 나라 정상도 김 위원장과 직접 통화 후 관련 내용을 공개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이번 핫라인 통화는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무엇보다 남북 간 긴급상황이 발생할 때 남북 간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사태 악화 등을 예방할 수 있다는 측면 등에서 핫라인 설치는 의미가 크다.

지난 1월 판문점 채널이 재가동되면서 현재는 남북이 수시로 연락을 할 수 있지만, 핫라인과 판문점 채널이 가동되지 않던 기간 정부는 긴급상황에도 라디오 방송, 판문점 육성 등을 통해 의사소통을 해야했다.

남북 정상 간 핫라인은 김대중 전 대통령 때 처음 구축됐다.

임동원 전 국정원장은 자신의 회고록 '피스메이커'에서 2000년 6월 제1차 남북 정상회담 때 당시 김 전 대통령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회담에서 핫라인 설치를 제안했고, 김 위원장이 동의하면서 처음 설치됐다고 밝혔다.

임 원장에 따르면 회담에서 김 전 대통령이 "뭔가 중요한 문제가 생기면 우리 두 정상이 직접 의사소통합시다. 이 기회에 두 정상 사이의 비상연락망을 마련하는 게 어떻겠습니까"라고 제안했고, 이에 김 위원장이 "그거 좋은 생각입니다. 그렇게 합시다"라고 동의했다.

그러나 당시 핫라인은 정상 간 직접 통화가 아니라, 국정원과 노동당 통일전선부에 설치된 뒤 간접적인 방식으로 정상의 의견을 전달하는 방식이었다. 설치 후 정상 간 직접통화는 없었지만 김대중 정부 마지막 날까지 핫라인은 가동된 것으로 알려졌다.

참여정부 당시에도 전화기는 국정원에 설치됐으나, 이 당시에도 역시 북측에서 전화가 오면 간접적으로 노무현 대통령에게 북측의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이번에 설치되는 핫라인은 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통화를 하기로 한만큼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과 노동당 중앙당사 집무실에 각각 설치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과 우리 비서실 격인 노동당 서기실에 설치될 가능성도 있다.

전화기에는 비화기(?話機)가 설치될 것으로 보인다. 비화기는 도청 등을 피하기 위해 일반 음성 신호를 음어(陰語)로 변환해주는 특수 장치로, 군에서도 지휘관들이 보안이 필수인 작전 사항과 관련된 대화는 비화기를 통해 주고받도록 하고 있다.

비화기는 남북이 모두 동일한 기기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북측 비화기를 받아와 설치하거나 우리측 비화기를 북측이 가져가 설치해야 한다.

한편, 핫라인이 설치되더라도 누가 먼저 전화를 걸고, 몇 시에 통화해야하는 지 등의 문제가 남아있다. 이같은 절차는 실무회담 등을 통해 추가적인 조율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ksj87@newsis.com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