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고립을 넘어, 배제된 슬픔을 넘어

입력 2018.04.15. 13:28 수정 2018.04.15. 17:04 댓글 0개
김태희 아침시평 다산연구소 소장

1980년 여름 어느 날 광주 집에 돌아갔다. 집은 광주 시내 한 복판에 있었다. 그해 5월 아버지는 서울에 있는 내게 광주에 내려오지 말라고 화급하게 연락했었다. 그동안 광주는 소문으로 전해졌고, 쉬쉬하는 화제였다. 그 후 처음 귀가였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아들을 앉혀 놓고 그동안 광주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말해 주셨다.

“사실은 이랬다!” 학생들의 질서정연한 시위가 있었고, 계엄군의 끔직한 만행이 있었고, 시민들의 분노와 항거가 있었다. 그 와중에도 시민들은 질서를 존중하고 나라를 걱정했다. 폭도 운운하며 불온시하는 온갖 루머와 이를 옮긴 언론 보도를 일일이 교정해 주었다. 아들을 붙잡고 한참 호소하는 이야기에는 광주시민으로서의 자랑스러움과 억울함이 교차했다.

광주의 5월은 오랫동안 금기시됐던 화제였다. 함께 겪은 광주시민 사이에서는 엄연한 진실인데도. 그것은 불온한 유언비어요, 선동이었다. 그런데 광주의 고립은 광주만의 것이 아니었다. 광주의 고립은 또다른 억압받는 사람들의 고립을 의미했다. 광주의 고립은 민주화와 함께 비로소 풀어지기 시작했고, 그것은 또다른 억압받는 사람들의 고립이 해소되는 것과 함께 진행됐다.

그러나 아직도 미진하다. 광주시민이면 누구나 알았던 광주의 진실이 많이 알려졌지만, 발포 명령자 등 광주 밖에서 있었던 것은 아직도 의문이 남아 있다. 한편에선 세월에 따른 망각 속에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시도가 자행되고 있다. 다른 거짓을 더해 이념문제로 덧칠하는 것이다. 당연했던 진실조차 그 기억을 소홀히 여겨서는 안 되는 까닭이다.

광주의 경험은 광주 시민만의 것이 아니다. 당시 진상을 그대로 보도한 외신뉴스를 본 외국인 반응 중엔 ‘광주시민이 소수민족이냐’는 질문이 있었다고 한다. 지역감정으로 왜곡하는 걸 보면, 진짜 소수민족이기라도 했다면 어쨌을까 싶었다. 그렇다. 고립된 불안, 배제된 슬픔의 경험은 5월 광주시민만 겪은 것이 아니었다.

광주 5월을 겪고 나니, 무심히 넘겼던 역사적 사건이 다시 보였다. 가령 제주 4·3사건에서 이념 대립보다 양민 학살의 부분이 주목됐다. 국가 폭력에 무고하게 희생된 제주 도민의 억울함이 이념문제로 덮어졌을 것이란 추측을 하게 됐다.

광주 시민단체들이 일찌감치 세월호 유가족 활동에 공감하고 동참한 것은 왜였을까? 세월호 유가족이 정부로부터 불온한 세력으로 취급될 때, 5월 광주를 겪었던 시민이라면 동병상련의 마음을 느꼈을 것이다. 그것은 고립되고 배제된 자의 억울함과 슬픔이었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어느새 4년이다. 지난 정부가 세월호를 그토록 불온시하고 덮으려 했지만, 정부가 무능하다는, 특히 대통령이 무감각하고 무능하다는 의심과 불신이 깊어지는 것을 막지 못했다. 세월호 침몰과 구조실패가 대통령 탄핵 사유가 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더라도 탄핵을 용인하는 분위기를 형성하기에는 충분했다.

그러나 4년이 흘렀어도 미진하다. 지금까지 거론됐던 침몰 원인도 확정적이지 않다. 화물 과적과 평형수 문제도 결정적 원인일 수 없다는 게 현재까지의 조사결과란다. 이제는 외부 충돌 가능성까지 확대 조사해야 한다고 한다. 당일 방송을 통해 보았던 국민들의 마음에 구조에 관한 의문은 여전하다. 시시각각 배가 기우는데 선장 등 몇 사람만 구하고 마는 모습을 보고 난 의문이다. 도대체 못 구했나, 안 구했나? 세월호 진상 규명은 이제 시작이다.

죽은 사람이 돌아올 수는 없다. 그러나 살아있는 사람이 해야 할 일이 있다. 한풀이가 아니다. 희생을 덧없이 만들 수 없고, 참사를 되풀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광주 5월이 국가 폭력을 응징하고 민주화를 촉진하는 역사로서 하나의 모멘텀을 이뤘다면, 세월호 참사는 국가 무능을 응징하고 정부의 시민을 향한 책임감과 기능성을 높이는 역사로서 하나의 모멘텀을 이뤄야 한다.

광주 5월과 세월호 참사는 비극으로서 잊어버려야 할 사건이 아니다. 우리 공동체 구성원이 함께하고 정부가 시민과 고락을 늘 함께하는 계기가 된 사건으로서, 기억하고 또 기억해야 한다. 그리하여 세월이 흘러도 우리는 말할 것이다.

“사람들은 그 사건을 잊지 않았다. 그 사건을 계기로 많은 것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그 후로 우리 역사에 그런 사건이 다시 되풀이되지 않았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