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평창결산]알파인·크로스컨트리···스키 메달밭, 외면할 것인가

입력 2018.02.25. 15:00 수정 2018.02.25. 15:08 댓글 0개

【서울=뉴시스】 황보현 기자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종합성적 7위에 오른 대한민국 대표팀이 17일 간의 여정을 마무리하고 다음 대회를 기약했다. 이번 대회에서 우리 선수들은 전통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여 온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등 빙상 종목에서 금메달을 수확했다.

반면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등 설상 종목에서는 거의 대부분 메달권 진입에 실패했다.

쇼트트랙에 편중된 메달을 다변화하는 것는 동계올림픽에서 한국이 풀어야 할 오랜 숙제였다. 그 동안 우리나라는 동계올림픽 무대에서 비인기 종목은 배제하고 메달 확보가 가능한 빙상 등 특정 종목에만 집중적인 투자와 관심을 쏟았다. '종목 편식'이 심했다.

비인기 종목은 선수층도 얇은 데다가 그들이 마음 놓고 실력을 연마할 실업팀조차 부족하다. 이런 상황에서 좋은 성적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그나마 이번 대회 가장 큰 수확은 설상 종목 중 하나인 스켈레톤과 봅슬레이 4인승, 그리고 스노보드 평행대회전에서 값진 메달을 수확했다는 사실이다.

스켈레톤 윤성빈(강원도청)과 원윤종·전정린(이상 강원도청)·서영우(경기BS경기연맹)·김동현(강원도청)으로 구성된 봅슬레이 4인승, 그리고 이상호(한국체대)가 각각 금메달과 은메달을 목에 걸면서 성장 가능성을 보여줬다.

특히 스켈레톤에서의 금메달은 아시아 썰매(스켈레톤·봅슬레이·루지) 사상 최초이자 한국 설상 최초의 금메달로 기록됐고, 봅슬레이도 사상 최초의 은메달을 따냈다. 스노보드 평행 대회전 역시 한국 스노보드 사상 설상 종목 첫 은메달이라는 점에서 여러모로 의미가 깊다.

윤성빈은 그동안 세계 수준과는 거리가 있던 한국 스켈레톤계에 혜성처럼 나타나 입문 6년 만에 세계 정상에서 호령하며 기염을 토했다. 당초 봅슬레이 4인승은 메달권과 거리가 멀었다. 2017∼2018시즌 월드컵 도중 대회를 포기하고 귀국하는 등 논란이 되기도 했지만 평창에서의 선전으로 피날레를 장식했다.

또 강원도 정선 출신인 '배추보이' 이상호는 어린 시절부터 고랭지 배추밭을 개량한 썰매장에서 스노보드를 타며 꿈을 키웠고 결국 올림픽 메달리스트로 우뚝 섰다. 이들의 성공은 설상 종목의 인프라 발전과 집중적인 투자의 결실이다.

우리나라는 설상 종목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라는 기대 이상의 성적을 거뒀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기대를 모았던 최재우(한국체대)는 결선 2차전에서 불운에 고개를 떨궜고, 2015년 이중국적을 포기하고 한국 국적을 택한 크로스컨트리 스키의 김마그너스(부산시체육회) 또한 시상대에 서지 못했다.

한국은 홈에서 열리는 대회인만큼 귀화 선수들을 받아들이면서 선전을 기대했다. 대부분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등 비인기 종목에 집중됐다.

특히 바이애슬론 불모지인 한국은 티모페이 랍신, 안나 플로리나, 에카테리나 에바쿠모바 등 3명의 러시아 출신 귀화 선수들을 앞세웠다. 메달권과는 거리가 있었지만 이들이 만들어낸 기록은 한국의 최고 기록이 됐다.

여자 루지에 출전한 독일 출신 귀화 선수 아일렌 프리슈(경기도체육회) 역시 최종 8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이 순위는 여자 싱글은 물론이고 남자 싱글, 더블, 팀 계주까지 포함해 한국 루지가 올림픽에서 거둔 역대 최고 성적이다.

비인기종목이라는 현실을 감안하더라도 이들이 거둔 성적은 그 동안 한국이 동계올림픽에서 이뤄낸 성적보다 월등했다. 한국은 귀화 선수들을 통해 유망주 육성과 동계스포츠 발전이라는 목표를 세워 다음 올림픽에 기대를 품게 만들었다.

앞으로 이들의 활약이 중요하다. 평창동계올림픽을 통해 국내 동계스포츠가 더 이상 빙상에만 편중하지 않고 고르게 성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방향을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대회를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동계스포츠 인프라를 구축한 우리나라는 여러 종목들에서 유망주를 육성하고 적극적으로 투자, 진정한 동계스포츠 강국으로 도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엘리트 위주의 경기력 강화도 중요하지만, 생활체육에 바탕을 둔 '풀뿌리 체육'으로 종목 저변확대를 통한 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hbh@newsis.com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