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미투’운동, 큰 용기 감사합니다

입력 2018.02.08. 17:39 수정 2018.02.08. 17:43 댓글 0개
도철원의 무등칼럼 무등일보 취재1본부

‘#미투(MeToo)’운동을 아십니까.

지난해 10월 미국 유명 영화제작자 하비 와인스타인의 성폭력 사건을 계기로 확산되기 시작한 이 운동은 국내에서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그동안 금기시돼 왔던 성폭력 문제를 피해자들이 직접 나서 ‘나도 당했다’고 밝히면서 사회 곳곳에 충격을 주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서지현 검사의 용기 있는 동참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오면서 광주에서도 한 여성변호사가 운동에 참여, 지역사회에 반향을 불러오고 있다.

여성이라는 이름으로, 그동안 참고 살아야만 했던, 누구에게도 밝히고 싶지 않았던 이야기를, 그것도 본인의 실명을 드러내면서까지 하기에 얼마나 큰 결심이 필요했을까라는 점을 생각하면 가슴 한켠이 숙연해진다. 변호사라는 사회적으로 인정 받는 직업을 가지고 있어 더더욱 쉽지 않았을 결정을 내렸기에 더욱 더 그렇다.

아직까지 우리사회가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시각이 그리 호의적이지 않기에 쉽지 않았을 결정에 다시 한번 박수를 보내고 싶다.

우리사회는 여전히 성폭력 피해자들이 마침 가해자처럼 주변의 수군거림과 비난을 감수해와야만 했다. 아직도 많은 성폭력 피해자들이 ‘내가 그때 그자리에 없었으면’, ‘내가 그때 자리를 박차고 나왔으면’이라며 자신의 잘못인 것처럼 자책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길은 멀기만 하다.

죄를 지은 사람이 나쁘다는 건 모든 사람이 알고 있지만 특히 가까운 사이에 벌어지는 성폭력에 대해서는 ‘무슨 사정이 있는 것 아니냐’, ‘여자가 먼저 빌미를 제공한 것 아니냐’는 편견 섞인 시선이 강하기만 하다.

직장 상사·동료, 가족, 지인 등 어찌 보면 일상에서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 당하는 성폭력이 전체 성범죄 중 80%가 넘는다는 통계가 있을정도로 성폭력은 가까운 사이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만큼 성폭력은 우리 주변에서 멀지 않은 이야기라는 의미와도 같다. 그리고 그만큼 많은 피해자가 우리 주변에서 자신을 자책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취재 과정에서 한 여성단체로부터 들었던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성폭력이라는 폭력 앞에서 어떠한 힘도 돼 주지 못한다’는 말에서 남성중심의 사회에서 여성들이 감내해야만 했던 아픔이 전해지는 듯하다.

성폭력은 엄연한 범죄다. 이는 남자고 여자고 상관없이 의사에 반해 이뤄졌다면 모두 범죄일 뿐이다.

술자리에서 분위기를 좋게 하기 위해, 너도 좋아하지 않았냐 등의 말은 모두 자신의 범죄를 무마하기 위한 핑계이자 변명이다.

미투운동은 이러한 진실을, 우리가 외면했던 불편한 이야기들을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 계기가 돼야 한다. 불편한 진실들을 제대로 마주해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성폭력은 범죄이며 누구나 성역없이 처벌을 받아야하는 범죄’임을 인식하는 사회분위기가 확산돼야만 더 이상 숨어사는 피해자도, 이렇게 용기를 내야 하는 이도 사라질 수 있다.

‘내가 한 말이 다른 이에게 수치심을 주지는 않았는지’‘무심코 한 행동에 상처를 받은 사람은 없는지’ 스스로 돌아보자.

‘미투’운동의 모든 동참자들에게 다시 한번 박수를 보낸다. 정말 큰 용기 감사합니다라는 말과 함께 .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