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광주의 어른

입력 2018.01.28. 12:09 수정 2018.01.29. 08:22 댓글 0개
손정연 아침시평 언론인/전 한국언론재단 이사

의재 허백련은 60~70년대 광주의 정신적 어른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남종문인화 대가로 불린 그는 회갑이 되던 60세가 되자 의도인(毅道人)이란 호를 사용한다. 의재(毅齋)란 호는 40대 중반까지, 그리고 이후 의재산인(毅齋散人) 시대를 거쳐 60에 이르러 ‘의도인’의 세계로 넘어온다.

왜 회갑 되던 해 의재는 ‘도인’이란 호를 사용하고자 했을까?

그를 이해하려면 60이란 숫자와 의재의 생각, 사상을 살펴 보아야한다. 그래야 의재가 왜 ‘도인’이란 호를 60들어 사용하고자 했는지 엿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작가들은 두 가지 의미로 호를 사용한다. 하나는 자신이 목표로 삼아 도달한 경지를 표현하거나 또 하나는 지향하고자 하는 목표나 그에 대한 의지를 호로써 나타내기도 한다. ‘의도인’은 후자적 성격이 강하다.

먼저 60이란 숫자로서 논어 위정편을 보면 공자는 60세를 이순(耳順)이라 했다. 자신을 되돌아보며 “예순에는 남의 말을 듣기만 하면 곧 그 이치를 깨달아 이해하게 됐다”고 부연했다. 요컨대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이지 않고 객관적으로 듣고 이해할 수 있는 나이가 60이라고 했다.

의재가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 춘설헌을 찾아가 인터뷰하고 책까지 펴낸 소설가 문순태 선배는 의재의 일생을 돌아보고 “의재는 철저한 유학자”라고 말한 적 있다. 유학의 핵심사상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이다. 자기 자신의 수양에 힘쓰고 천하를 이상적으로 다스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실천 중시의 사상이다.

이런 의재가 이순의 나이가 되어 자신의 호에 ‘도인’을 사용한 것은 일종의 프레임이다. 그렇게 살고자 한 것이다. 서울대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는 프레임을 ‘세상을 보는 마음의 창’이라고 했다.

유학자였던 의재가 목표로 삼은 도인의 삶은 과연 어떤 삶이었을까?

신영복 선생이 도에 대해 풀이한 내용이 있다. 도인의 ‘길道(도)’자는 辵(착)과 首(수)로 이루어진 회의문자로서 “辵(착)은 머리카락 휘날리며 사람이 걸어가는 모양이며 首(수)는 사람의 생각을 의미하니 ‘길道(도)’란 곧 사람이 걸어가며 생각하는 것”이라는 풀이다.

신영복 선생 말대로 도(道)는 길이고, 길은 삶의 가운데에 있고 길은 여러 사람들이 밟아서 다져진 통로다. 머리카락 휘날리며 삶의 한 가운데를 걸으며 생각하는 도인은 자신과 소통하고 또 세상과도 소통한다. 여러 사람들이 밟아서 다져진 통로는 다름 아닌 편향성이 배제된 균형성의 공간이자 공(公)적인 영역이다. 이런 공적 공간을 걸어갈 때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이지 않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객관성 유지다. 이 객관성 그 끝에 객관적 진실인 참(眞)이 있고, 참대로 사는 것이 도(道)의 세계다.

수기치인을 중시한 의재는 홍익인간을 그의 실천적 도의 삶 목표로 삼았다.

하늘을 사랑하고, 딛고 있는 이 땅을 사랑하며, 또 사람을 사랑하는 삼애사상과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은 바로 의재가 추구한 참 가치, ‘도’의 핵심사상이다. 의재는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이지 않고 객관적으로 듣고 이해할 수 있는 60에 이르러 한층 홍익세상 추구에 남은 생을 바치겠다고 다짐한 것이다.

연진회(1938년)를 만들어 제자들을 육성하고, 해방이 되자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해 농촌지도자 양성이 시급하다며 농업기술학교 삼애학원을 설립(1947년)한 의재였다.

춘설차 다원을 조성하고 차문화 보급에 나선데도 까닭이 있다. “우리 민족이 차를 마시면 정신이 맑아지고, 맑은 정신으로 판단해 실천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다”는 홍익적 생각에서다. 우리에게 부족한 합리성을 얘기한 것이다.

광주에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찾아가 길을 물으면 홍익사상에 근거한 답을 내놓았다.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이지 않고 객관적으로 듣고 말하고자 했다.

이러한 큰 뜻을 품고 실천한 의재를 보고 광주는 그를 정신적 어른으로 대접했다.

“무등산 물이 마르면 나도 말라 죽는다”는 의재 선생이 떠난지 오는 2월 15일로 어언 41년이 된다.

오늘날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찾아가 길을 물을 수 있는, 의재와 같은 광주의 정신적 어른은 누구일까?

광주의 문제에 대해 서로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이지 않고 객관적으로 듣고 묻고 소통하며 길을 찾는 노력을 우리는 또 다하고 있는 것일까?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