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우리나라 국립대학 총장 관련 제도 개선 방향

입력 2017.12.24. 14:28 수정 2017.12.24. 15:01 댓글 0개
박남기 아침시평 전 광주교육대학교 총장

인구절벽의 파고와 함께 4차 산업혁명의 파고가 우리 대학에 몰아닥치고 있다. 고교 졸업자는 2013년 63만 명에서 2023년에 40만 명으로 10년 사이에 37% 가까이 급감하고 있다. 직업 유형과 필요한 역량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대학이 제공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도 급격히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내다보며 각 대학이 나름대로 준비를 하고는 있으나 그 안을 들여다보면 걱정되는 부분이 많다. 그 중의 하나가 대학의 미래를 좌우할 총장 관련 제도이다.

미국에서 최근 혁신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진 애리조나 주립대학(Arizona State University), 서던 뉴햄프셔대학(Southern New Hampshire University) 등 대부분 대학 혁신 성공 뒤에는 뛰어난 리더십을 발휘한 총장이 있다. 총장은 그 대학 구성원이 힘을 모아 미래를 열어가도록 시스템을 만들고 구성원에게 동기를 부여하며,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는 중요한 리더이다.

최근 우리 나라 국립대학은 총장 선출 방식을 놓고 대학 구성원 간의 갈등이 커지고 있다. 국립대 총장이 교수와 직원을 통해 학생과 함께 그러한 개혁을 이룰 수 있기 위해서는 안정적이며 혁신적인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필요로 한다.

그 중 하나는 임기이다. 미래의 파고를 넘기 위한 혁신은 일회적인 것이 아니라 지속적이어야 한다. 대학 조직에 혁신 문화가 형성되고 구성원이 마음을 모아 혁신을 추진해가야 한다. 그런데 4년 임기의 총장은 시작과 함께 1-2년의 혁신 드라이브를 걸다가 곧 레임덕 현상을 겪게 된다. 또한 새로운 총장은 임기 시작 때마다 핵심보직자를 대부분 교체하여 대학 혁신을 이끌어 온 인적자원의 역량도 축적되기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제반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미국의 경우처럼 장기간 재임이 가능하게 하거나, 일본의 경우처럼 특별한 하자가 없으면 임기를 자동 연장시키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대학평의회 구성처럼 당분간 대학 구성원 중에서 한 집단이 차지하는 비율이 절반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교수집단이 총장 선출 주도권을 가지고 있다 보니 교수들의 변화를 요구하는 개혁은 추진하기가 어렵다. 총장 반대파는 여당에 무조건 반대하고 나서는 야당처럼 행동하며 버티는 경우가 다반사다. 개혁 추진의 의지는 곧 꺾이게 되고, 쓰나미가 자기 재임기간에는 몰려오지 않기를 바라면서 개혁 시늉만 내는 임기 후반을 보내는 총장이 되기 십상이다. 과거 직선제 폐해를 돌이켜볼 때 교수 수가 200명을 넘기지 않는 중소규모 대학에서는 이 문제를 더욱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다.

가장 근본적으로는 총장의 역량이 개별 국립대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행·재정지원 시스템을 재설계하는 것이다. 누가 되든 국립대 교수와 직원의 근무 여건과 대학의 미래에 크게 상관이 없는 상황이라면 교수와 직원들은 자기와 친한 사람이 총장이 되기를 바라게 될 것이다. 하지만 총장 주도의 외부 기금 모금액을 정부가 지원하는 대학 운영비, 인건비, 장학금 일부와 연계하는 시스템만 도입해도 대학구성원의 총장 선출 기준은 크게 바뀔 것이다.

대학의 미래는 한 국가의 경제·사회 발전의 미래와 직결되어 있다. 미래 대비에 적합한 국립대 총장 관련 제도 개혁 방향에 대한 범사회적 차원의 진지한 논의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