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서울도시재생지역 주택매매가 7~8%↑…市 "부동산투기 무관"

입력 2017.11.22. 11:15 댓글 0개
도시재생활성화 시범사업지역 주택거래가격 전수조사
주택매매가 증가율 단독·다가구 7%, 다세대·연립 7%, 아파트 8%
창신숭인·가리봉·장위·성수·신촌 등 일부 구역 타지역보다 상승률 높아

【서울=뉴시스】박대로 기자 = 서울시는 도시재생사업과 부동산 투기 연관성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시는 2015년 1월부터 올해 7월까지 지정된 도시재생활성화 시범사업지역을 대상으로 주택 거래가격 증감률과 서울시 전체 주택거래가격 증감률을 주택유형별로 전수조사해 분석했다.

분석 대상은 1단계 도시재생활성화사업으로 지정된 13개 지역중 주택 거래건수가 부족한 일부 지역(창동상계·장안평·세운상가 등)을 제외한 9개 지역(서울역·창신숭인·가리봉·상도·성수·신촌·암사·장위·해방촌 등)이었다.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정 이후 3년 평균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을 조사한 결과 평균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은 단독·다가구 7%, 다세대·연립 7%, 아파트 8%로 서울시 전체의 주택매매가격 증가율 8%와 대동소이했다.

도시재생활성화사업 구역의 주택가격 증가율과 그 구역이 속한 자치구의 전체 주택매매가격 증가율 역시 유사하거나 일부 유형은 오히려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도시재생활성화사업구역인 해방촌 지역의 경우 단독·다가구 상승률은 12.4%로 용산구 평균 증가율 14.0%와 비슷했다. 다세대·연립(해방촌 4.2%, 용산구 8.5%), 아파트(해방촌 6.2%, 용산구 8.2%)는 용산구 평균 증가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기간 강남4구 재건축 아파트의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은 서울시 전체의 주택매매가격 증가율인 8%보다 높은 12.4%로 집계됐다.

시는 "시민들이 강남권의 아파트를 여전히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시재생활성화사업보다는 재건축과 같은 행위가 주택가격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분석했다.

다만 창신숭인·가리봉·장위·성수·신촌 등 일부 도시재생활성화사업구역은 지역자체의 여건과 상승요인으로 일부 주택 유형의 매매가격 증가율, ㎡당 가격이 해당 자치구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창신숭인·가리봉·장위지역은 정비사업이 해제되면서 신축 수요가 집중됐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창신숭인 다세대·연립 매매가는 6.6% 올라 종로구 평균(4.3%)을 웃돌았다. 가리봉 단독·다가구 매매가는 10.2% 올라 구로구 평균(8.7%)보다 상승률이 높았다. 장위 다세대·연립 매매가는 11.4% 올라 성북구 평균(7.1%)을 크게 웃돌았다.

성수지역은 분당선 연장에 따른 강남권 수요 흡수, 주변지역의 명소화, 고가아파트의 신규 건설에 따른 신흥 부촌으로의 부상 등에 따른 영향이라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성수동 아파트 매매가는 10.8% 올라 성동구 평균(7.8%)을 상회했다.

신촌지역은 ㎡당 거래 가격이 높은 신축 도시형생활주택의 거래가 본격적으로 시작돼 일시적으로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도시재생사업과는 무관하다고 서울시는 밝혔다. 신촌 다세대·연립 매매가는 30.6% 올라 서대문구 평균(7.0%)을 크게 넘어섰다.

진희선 도시재생본부장은 "이번 분석 결과를 보면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지정과 부동산 투기는 큰 연관성이 없다"며 "오히려 현재까지도 강남 중심의 아파트 수요가 여전하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아파트 가격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저층주거지 환경개선을 통해 강남 중심의 아파트 수요를 분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 본부장은 향후 도시재생활성화지역에 대한 부동산 투기 우려에 대해서는 "모니터링 등을 통해 사전에 감지하고 투기를 예방하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daero@newsis.com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