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기고> 5·18민주광장의 기억과 미래

입력 2021.11.23. 09:16 수정 2021.11.23. 19:55 댓글 0개
독자 발언대 여러분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
박경섭 (사)지역공공정책플랫폼광주로 지역공공정책연구소장

2021년 한 해가 12월 한 달을 남겨놓고 있다. 12월의 마지막 날에는 5·18민주광장에 있는 민주의 종을 타종하며 해를 넘기는 행사가 진행될 것이다. 민주의 종이 위치한 '5·18민주광장'은 5·18민주화운동 사적 5호로 광주항쟁의 상징이자 민주주의의 도시 광주를 상징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5·18민주광장은 전라남도청사가 1930년 완공된 이후 금남로 확장공사 이전까지 T자형 도로였고 중요한 정치적 집회나 대회가 열릴 때 임시로 광장의 역할을 담당했다. 옛 전남도청 앞 풍경은 1970년대 금남로 확장공사와 옛 전남도청 증축공사가 완료되고 분수대가 설치되면서 현재의 모습과 비슷해졌다. 분수대 일원이 실질적으로 광장의 형태를 갖춘 것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2014년 완공된 이후의 일이다.

도청 앞 분수대 공간이 광장으로 시민들에게 분명하게 인식된 것은 1980년 5월 14~16일 광주지역 대학생들의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열렸고 분수대가 집회의 연단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5·18민주광장 사적지 설명문과 1997년 옛 전남도청 앞에 건립된 '5·18민중항쟁 기념탑' 표지석은 광장의 의미를 1980년 항쟁이 전개되고 궐기대회가 열렸던 곳으로 5·18정신이 태어난 장소이며 한국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공간이라고 밝히고 있다.

1980년 오월 이후 41년의 시간이 지나고 현재 광장에는 5·18과 관련된 많은 기념물들과 소공원들이 존재한다. 특히 5·18시계탑과 민주의 종은 광장에서 가장 눈에 띈다. 시계탑은 1971년 청년회의소(JC) 전국회원대회를 광주에서 개최한 것을 기념해 광주청년회의소와 자매결연을 맺은 일본청년회의소가 기부하여 설치되었다. 시계탑은 1980년대 중반에 신군부에 의해서 서구 농성동의 농성광장으로 자리를 옮기게 되었는데 정확한 시기와 이유는 밝혀져 있지 않다. 2015년 1월 27일 옛 도청 앞 시계탑 제막식 때 공개된 시계탑은 단순히 원래 있던 장소로 되돌아온 것이 아니라 80년 항쟁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농성광장으로 이전된 시계탑은 항쟁 당시 도청 앞의 모습과 달라졌는데 고장난 시계는 제거되었고 光州靑年會議所라는 한자(漢字)가 부착되었다. 복원을 통해 광주청년회의소라는 글자는 제거되었고, 농성광장으로 이전 후 제거된 시계는 새롭게 제작되어 부착되었으며 낡고 훼손된 대리석들은 새로운 대리석으로 교체되어 깨끗하게 단장되었다. 이 복원 과정을 통해 시계탑은 옛 모습을 되찾았지만 농성광장에 자리했던 시간의 흔적들은 지워졌다.

전시행정이라는 지적과 시민 참여 부재라는 비판 속에서 2005년 10월에 건립된 민주의 종 또한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이듬해 5·18행사 때는 건립추진위에 포함된 비민주적 인사들이 포함되었다는 논란 속에서 타종되지 못했고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 공사로 인해 2008년에는 해체되어 광주환경시설공단에 옮겨져 보관되었다. 2011년 말에는 납품된 종에서 균열이 발견되어 2012년에 다시 제작되었다. 2013년 9월 10일 민주의 종은 현재의 위치에 다시 설치되었고 2015년에는 민주의 종의 역사성을 확립하고 시민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다시금 광주시 주도로 '민주의 종 시민위원회'가 설치되었다. 2020년 11월 26일에 표지석 제막식이 개최되었지만 종각 터 표지석 안내문에는 민주의 종이 건립된 과정과 논란은 쓰여있지 않다. 민주의 종의 상징성을 지키고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조성 과정과 재설치 과정에서 논란과 불편한 이야기는 감춰졌다.

광장의 시계탑과 민주의 종의 감춰진 시간과 드러나지 않는 기억들은 우리가 현재와 닿아있는 역사를 이해하고 해석할 때 목적에 맞게 편리하게 이야기하는 것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는지 모른다. 우리가 5·18에서 논란을 지우고 불편함을 제거하여 순화하여 성역화해서는 5·18은 머나먼 역사가 되고 현재의 삶과 멀어지게 만들 수 있다.

항쟁 당시의 5·18민주광장이 민주주의를 직접 구현하고 항쟁의 동력을 생성하는 역동적인 장이었다면 현재의 모습은 어떤가? 현재의 불공정과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민주주의가 여전히 꿈틀대고 있을까? 5·18의 순화와 성역화가 5·18의 정신과 가치를 약화시킬 수 있으며 이미 너무 많은 상징물과 설치물이 자리하고 있는 5·18민주광장은 배우고 익혀야 할 것들로 넘쳐난다. 그리고 5·18 관련 상징물이 가리키는 시간은 참상의 그날(1980년 5월 21일) 혹은 '항쟁 당시'의 과거의 시간으로 더 이상 미래로 향하고 있지 않는 것 같다. 우리는 광장을 너무 채우고 장식하고 있지는 않는가? 광장을 장식하고 채우는 것보다 비우는 것이 새로운 상상들이 등장하고 5·18 이후 세대의 관심과 참여할 여지를 만드는 일은 아닐까.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