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바늘구멍' 마다않는 청약열기···통장 70만개 늘어

입력 2021.06.21. 12:39 댓글 1개
5월 말 기준 2626만 명…한 달 새 8만7594명 늘어
기존 주택가격 너무 올라 청약시장에 관심 높아져
치열해진 청약 경쟁률…문 정부서 3배 넘게 올라
서울 가점 60점 돼야 가능성…사전청약으로 분산

[서울=뉴시스] 강세훈 기자 = 새 아파트 청약 열기가 점점 고조되고 있다. 청약통장 가입자가 260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매달 10만 명 안팎의 가입자가 추가로 늘어나며 청약 시장 쏠림 현상이 가속화되는 양상이다.

2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으로 전국 주택청약통합저축통장 가입자 수는 2626만4345명으로 지난 4월 말 2617만6751명 보다 8만7594명 늘어났다.

지난 3월 말 2600만명을 넘어선 후에도 계속해서 가파른 증가세를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말 가입자수 2555만9156명과 비교하면 올해 들어 5개월 만에 청약통장 가입자가 70만5189명이 늘어났다.

신규 분양 단지는 시세 보다 저렴한 가격에 공급되기 때문에 이른바 '로또 분양'으로 불린다. 이 때문에 주택 청약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수요자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또한 기존 주택가격이 단기간에 너무 올라 가격 부담이 커진 가운데 기존 주택은 대출 규제로 목돈 마련이 쉽지 않다 보니 목돈 마련에 대한 부담이 덜한 청약 시장으로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집값이 가파르게 오른 문재인 정부 들어 청약 경쟁률은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부동산 정보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4년 간 서울 아파트 청약 경쟁률은 37.3대 1을 기록했다.

이는 노무현 정부 16.6대 1, 이명박 정부 3.2대 1, 박근혜 정부 11.6대 1의 청약 경쟁률을 크게 웃도는 기록이다. 직전 정부인 박근혜 정부 보다는 3배 이상의 경쟁률이다.

이 정부들어 청약 쏠림이 가속화되면서 청약 시장의 신기록 경신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 5월 경기도 화성시에서 분양한 '동탄역 디에트르 퍼스티지'의 경우 302가구 모집에 24만4343명이 몰려 평균 809.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청약 시장 역대 최고 경쟁률이다. 추첨제가 포함된 102㎡A 평형의 경우 71가구 모집에 무려 10만7508명이 청약을 신청해 경쟁률이 1514.2대 1에 달했다.

[서울=뉴시스]고범준 기자 =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강남 일대 아파트 단지 모습이 보이고 있다. 2021.06.17. bjko@newsis.com

청약 시장 과열 현상은 서울과 수도권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서울의 경우 올해 청약 경쟁률은 115대 1로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당첨 가점도 치솟아 올해 서울에서 분양된 아파트의 평균 당첨 가점이 67.1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이 지속될 경우 상대적으로 가점이 낮은 30·40대를 중심으로 '청포자'(청약 포기자)가 속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젊은 층은 무주택 기간과 청약통장 가입 기간이 짧아 높은 가점을 얻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매매시장 유입으로 이어져 기존 주택가격 상승을 자극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점제에서 소외된 30·40대의 당첨 기회를 높이기 위해 추첨제 물량을 늘리는 등의 제도 개편 요구가 나오고 있지만 또 다른 세대 간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다.

최근 몇 년 간의 청약 과열 현상은 분양 물량 부족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 돼 있다.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4년 동안 서울 아파트 분양 물량은 5만5511가구로, 같은 기간 박근혜 정부(6만2886가구)와 노무현 정부(6만1280가구) 보다 적었다. 이명박 정부 3만4959가구 보다는 많았다.

다만 올해 3만여 가구에 달하는 3기 신도시 등 사전청약이 오는 7월부터 시작되는 만큼 민간 청약 시장의 분위기도 일부 바뀔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꺼번에 많은 공급이 이뤄지는 만큼 높아진 청약 경쟁률이 다소 꺾일 것이란 전망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정부가 공급을 확대하고 사전청약을 실시해 시장불안을 차단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공급이 확충될 수 있는 요인이 많은 만큼 공급부족으로 인한 시장 불안현상이 장기화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angs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1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