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옛 광주교도소 5·18 암매장 발굴 초읽기…범위·방법 '관심'

입력 2017.10.22. 10:53 수정 2017.10.23. 08:27 댓글 0개
37년 만에 처음 조사…유해 발굴시 검찰이 지휘

【광주=뉴시스】 배동민 기자 = 옛 광주교도소에서 80년 5월 5·18민주화운동 행방불명자를 찾기 위한 발굴 작업이 37년 만에 이뤄지면서 범위와 방법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5·18기념재단은 오는 23일 오전 11시 기자회견을 열고 옛 광주교도소의 암매장 추정 장소에 대한 발굴 조사 일정을 공개한다고 22일 밝혔다.

발굴 장소는 5·18 당시 교도소에서 농장으로 사용했던 땅이다. 그 중 현재 풀숲으로 덮여 있는 곳이 가장 먼저 발굴 작업을 벌일 장소다.

재단은 앞선 현장조사에서 5·18 당시 광주교도소에 수감 중이었던 재소자가 '중장비로 땅을 파는 모습을 목격했다'고 지목한 곳과 3공수여단 부대원이 남긴 약도에 표시된 암매장 추정 장소가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뒤 이 곳을 유력한 암매장 장소로 주목하고 있다.

지난 20일에는 풀 베는 작업까지 마쳤다. 발굴 작업은 이달 안에 시작할 예정이다. 광주교도소에서 암매장 발굴 작업이 이뤄지는 것은 80년 이후 37년 만에 처음이다.

발굴 조사는 조현종(전 국립광주박물관장)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연구소장이 주도한다. 조 소장은 지난 1992년 광주 신창동 유적을 발굴하는 등 국립박물관에서 30년 이상 근무했다. 유물을 발굴하는 방식을 암매장 발굴 조사에 활용한다.

땅 속에 묻혀 있는 유해를 감지하기 위해,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의 최첨단 탐색장비가 동원될 가능성도 크다. 앞서 법무부 측은 기념재단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의 첨단 장비를 동원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유해가 발굴되면 박종태 전남대 법의학교수, 윤창륙 조선대 임상치의학교수 등 법의학과 치의학 전문가들이 참여해 신원 확인 절차에 들어간다. 이때부터는 발굴 조사의 주체가 기념재단에서 검찰로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

김양래 기념재단 이사장은 "유해가 발굴되면 검찰이 이번 발굴 조사의 지휘를 맡도록 협조를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유해가 나오면 발굴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암매장 추정 장소인 옛 농장 터 중 일부는 80년 5월과 달리 아스팔트가 시공돼 있고 울타리가 세워져 있다. 과거에 없던 테니스장과 교도경비대가 사용하는 건물, 주차장 등이 새로 들어섰다.

기념재단은 80년 5월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근무했던 교도관의 증언을 통해 이들 시설이 5·18 이후 지어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유해 발굴 여부에 따라 이 곳에 대한 발굴 작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김양래 상임이사는 "현재까지 모아온 증언과 80년 5월 당시 상황 등을 종합하면 이 곳에 행불자들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이달 안으로 반드시 발굴 작업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광주교도소는 5·18 당시 3공수여단과 20사단 병력들이 주둔했던 곳이다. 5·18 직후 교도소 관사 뒤에서는 시신 8구, 교도소 앞 야산에서는 시신 3구가 암매장 상태로 발견됐다.

계엄사령부가 발표한 80년 5월31일 '광주사태 진상 조사' 문건에는 이른바 '교도소 습격 사건'으로 민간인 27명(보안대 자료 28명)이 사망했다고 기록돼 있다. 단순 계산으로도 16~17명의 신원과 행방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최소 52명이 교도소 내에서 사망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재단은 광주교도소 외에 7공수여단이 주둔했던 제2수원지 상류쪽과 화순 너릿재 인근 등도 올해 내 발굴 작업을 벌일 예정이다.·

guggy@newsis.com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