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5·18 최후항쟁지' 옛 전남도청, 탄흔 의심 흔적 924개

입력 2021.04.13. 16:23 댓글 0개
10개 탄흔 확정·71개 추정 흔적…탄두 5개는 발굴·추출
헬기사격 입증 등 과제도…"항쟁 진실 밝히는 실마리"
[광주=뉴시스] 변재훈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 옛 전남도청 복원 추진단이 13일 오후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본관 서무과 주변에서 발견한 1980년 5·18 당시 탄흔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추진단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연구진 등과 함께 정밀 조사를 벌여 옛 전남도청 일원에서 탄흔으로 의심되는 흔적 총 924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2021.04.13. wisdom21@newsis.com

[광주=뉴시스] 변재훈 기자 =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최후 항쟁지였던 옛 전남도청 건물에서 당시 총기 탄흔으로 의심되는 흔적 924개가 발견됐다. 10개는 탄흔으로 확정됐다.

외벽 등에서는 탄두 5개가 발굴·추출돼 당시 계엄군의 진압 사격 형태 등에 대한 진상 규명이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체육관광부 옛 전남도청복원추진단은 13일 오후 옛 전남도청에서 '1980년 5·18당시 옛 전남도청에 대한 탄흔 조사 결과' 보고회를 열고 본관·경찰국 등에서 탄흔 의심 흔적 924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중 1980년 5·18 당시 도청 진압 상황을 추정할 수 있는 탄두가 10곳에 박혀 있었고 그 중 탄두 5개는 추출까지 마쳤다. 추출된 탄두 5개는 각각 옛 도청 본관 서무과(항쟁 당시 시민군 상황실), 경찰국 본관 후면 외벽 등 2곳에서 발견됐다.

특히 서무과 외벽엔 소총(M16소총 추정)의 자동연사 기능을 활용한 탄흔 자국으로 보인다고 추진단은 유추했다. 또 "도청 점령 진압 작전에서 최우선 목표는 무기고, 시민군 상황실이었다"는 당시 계엄군의 진술도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탄흔 추정 위치를 비파괴 투과 검사 방법(감마선·X선·열화 촬영 검사 등)으로 형태를 분석, 탄흔인 것으로 보이는 71곳을 발견했다. 하지만 현재 수리·보수를 거치면서 탄흔임을 입증하기 어렵다고 잠정 결론 지었다.

잔존 성분 검사 등 추가 검증이 필요한 탄흔 의심 흔적 454개도 추가 발견됐고 나머지 389개는 못이나 나사못 자국, 보강 철근 등 건물 철거 및 보수 공사에 의한 흔적으로 판명됐다.

옛 전남도청 건물 외에도 1980년 당시부터 있었던 나무 가운데 본관 앞 은행나무, 회의실(또는 민원봉사실) 옆 소나무에도 각각 3, 2개의 탄두가 박혀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헬기 사격 여부를 가려낼 건물 옥상부에서는 탄흔 추정 흔적을 마땅히 찾지 못했다. 조사 대상 위치를 대상으로 감마선 검사를 거쳤으나 탄두 의심 물체가 발견되지 않았다. 과학적 검사 과정에서 의심되는 정황(금속 감지 반응 불규칙)도 있었으나 모두 철근 등 건축 자재인 것으로 봤다.

과학적 연구 방법을 교차 적용하는 과정에서 현실적 여건 때문에 옥상부 대부분의 장소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경찰국 후면 외벽에서는 집중적인 사격 흔적이 발견됐고, 인접한 지역에 테니스장 등 시설물이 있어 다양한 사격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다고 추진단은 설명했다. 헬기 사격 가능성은 단정할 수 없고 충분한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옛 전남도청 복원추진단은 탄흔 조사를 위해 문헌, 구술, 당시 사진·영상 등으로 탄흔 추정 위치를 추려냈고 비파괴 방식의 과학적 조사 방법을 최대한 동원했다.

국방부의 협조를 받아 사격장에 당시 벽면과 동일한 형태의 벽체를 만들어 탄흔 표본(샘플) 사격을 한 후 확보된 탄흔 표본과 현 벽체도 비교·분석했다.

이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을 통해 총탄 성분 분석과 탄두 표면에 남아 있는 총기 강선 흔적 등을 교차 검토해 M16 소총의 탄두가 유력하다고 증명했다.

[광주=뉴시스] 변재훈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 옛 전남도청 복원 추진단이 13일 오후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본관 앞 은행나무에서 1980년 5·18 당시 탄흔이 발견된 경위를 설명하고 있다. 추진단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연구진 등과 함께 정밀 조사를 벌여 옛 전남도청 일원에서 탄흔으로 의심되는 흔적 총 924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2021.04.13. wisdom21@newsis.com

옛 전남도청 복원추진단 관계자는 "이번 조사로 확인된 탄흔을 통해 시민(군)들의 최후 항쟁 직전과 직후 모습, 계엄군의 진압 동선, 진압 방식 등을 유추할 수 있었다"며 "5·18 최후의 항쟁지였던 옛 전남도청이 품고 있던 그 날의 기억과 진실을 밝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고 평가했다.

또 "탄흔 조사의 모든 과정을 영상으로 담아 전시 콘텐츠로 제작, 옛 전남도청 복원이 끝나면 공개할 예정이다"며 "탄흔으로 확정된 10개의 흔적은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처리하겠다. 최선의 보존 방법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나머지 탄흔 추정 흔적(71개), 의심 흔적(454개) 등 525개 흔적에 대해서도 추가조사하고 검증할 계획이다.
[광주=뉴시스] 변재훈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 옛 전남도청 복원 추진단이 13일 오후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회의실에서 1980년 5·18 당시 탄흔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추진단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연구진 등과 함께 정밀 조사를 벌여 탄흔으로 의심되는 흔적 총 924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2021.04.13. wisdom21@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wisdom2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관련키워드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