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칼럼> 폐허 수집가의 책읽기

입력 2021.02.19. 10:08 수정 2021.02.21. 19:27 댓글 0개
한순미 아침시평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

예술가의 생애는 어떤 손길과 눈빛으로 빚느냐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조각된다. 1830년에 태어난 머이브리지라는 이름은 여느 사진작가들에 비해 낯설다. 그는 기술과 공학을 결합해 연속사진을 촬영하고 동작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활동사진의 역사를 열었던 인물이다. 사진과 더불어 철도, 전신 등 과학기술 문명이 탄생해 다른 역사로 질주하는 시기였다.

작년 가을에 사둔 리베카 솔닛의 '그림자의 강'(김현우 옮김, 창비, 2020)을 결국 한해를 넘기고 나서야 읽게 되었다. 이 책에 드리운 예술가의 '그림자'는 짙고 검푸르다. 사진작가를 조명한 예술비평 에세이라고 단정하기엔 폭이 넓다. 흐르는 강물에서 건져 올린 머이브리지의 작업은 사진에서 영화의 시대로 건너가는 길목을 현상한다.

그런데 나는 이 책의 '제1장. 시공간의 소멸'을 읽다가 그만 멈췄다. 제1장에서 3번 반복되는 한 줄의 문장에서 한 사람의 고단한 생애가 압축해서 전달되었다. "1872년 봄, 한 남자가 말 한 마리의 사진을 찍었다."('그림자의 강', 9쪽, 13쪽, 41쪽) 그 남자는 왜 움직이는 말을 피사체로 선택했는지를 생각하다가 책을 다시 덮었다. 그해 봄날 "말 한 마리의 사진"을 찍고 있는 한 남자는 독서가의 시간을 훔치기에 충분했다.

사진은 움직이는 것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작업이다. 사진은 시공간의 흐름을 정지하거나 소멸시킨다.

-사랑하는 이의 젊은 얼굴을 시간이 흐른 후에, 심지어 죽음이나 이별로 그 얼굴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도 마치 물건처럼 소유할 수 있었다. (…) 사진은 시간의 강을 멈추게 했지만, 스튜디오에서 강물처럼 쏟아져 나오는 사진들이 가정으로, 사람들의 호주머니로, 사진첩으로 흘러들었다.(앞의 책, 31-32쪽)

그곳에서 아름답고 고귀한 것들은 죽음의 형식으로 영원을 살아간다. 먼지 덮인 서랍에서 사진작가를 꺼내 읽는 글쓴이의 손은 필름 조각을 다루듯 예민하고 섬세하다. 하지만 나는 제2장으로 바로 넘어가지 못했다. 예술가의 '행적'을 정독할 필요가 있었다. 글쓴이는 제1장의 마지막 문단에서 '그의 행적'에 대해 함부로 말하지 못하도록 다음과 같은 안내표지판을 세워두었다. "그의 행적을 따라가는 것은 지금 우리를 있게 한 선택들을 따라가는 일이다."(앞의 책, 42쪽)

나는 그 표지판을 이렇게 해석했다. 한 사람의 역사를 읽는다는 것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삶의 풍경을 선택하는 일과 다르지 않다, 그러므로 더없이 신중해야 한다고. 누군가 저 먼 이국의 사진예술가를 그린 책을 읽게 된 이유를 묻는다면 재난으로 가득한 일상이 '선택'한 것이라고 답하고 싶다.

재난의 시대에 독서는 산산조각이 흩어진 폐허 위를 내딛는 발걸음과 흡사하다. 머이브리지를 역사의 퇴적층에서 재발견한 리베카 솔닛은 예술비평가일 뿐만 아니라 국가폭력, 반핵, 인권, 기후변화, 환경운동 등에 참여한 실천적인 지식인이다. 이미 나의 눈길은 1906년에서 2005년에 이르는 거의 100여년 동안 북미에서 발생한 지진, 화재, 폭발, 붕괴, 허리케인 등 대재난의 목록 앞에 도착해 있었다. 리베카 솔닛은 재난의 현장에서 색다른 것들을 발굴해낸다.

잿빛 목소리로 다른 세계로 향하는 좁은문을 연다. "재난과 혁명, 이 두 현상은 연대와 불확실성, 가능성, 평소에 가동되는 체제들의 전복같은 측면들을 공유한다. 다시 말해, 규칙들이 깨지고 많은 문이 열린다."('이 폐허를 응시하라', 정해영 옮김, 펜타그램, 2012, 242-243쪽) 재난으로 인한 위기에서 저항의 연대가 탄생하는 지점을 발견한다. 재난 이후 불평등한 현실, 권위주의에 항거하는 몸짓들이 이어지는 가운데 새로운 우정과 사랑, 혁명의 공동체가 탄생한다는 것이다.

재난이 일상화된 현실에서 책읽기는 이전보다 더 냉정한 마음을 요구한다. 깨진 조각들을 수집하듯이 책 전체를 정독하기보다는 짧은 문장들에 오래 머무를 때도 많다. 묵혀둘수록 맛있는 책들도 있다. 어떤 책은 시공간의 흐름을 되돌리는 마력을 품고 있다. 책이 준 강렬한 느낌이 손상되지 않도록 그대로 보존하고 싶은 것들도 있다.

"수집가는 사물세계의 인상학자이다."(발터 벤야민, '나의 서재 공개') 이 한문장에 오랫동안 전염된 나는 이 세계를 앓고 있는 책들의 인상을 수집한다. 각각의 책들이 지닌 운명의 행로에 관심을 기울인다. 마음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을 때에는 페이지를 건너뛰는 과감한 독서가 오히려 위로가 된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