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65명 추가 확진···누적 6522명뉴시스
- [속보] 코로나19 사망자 3명 늘어 1645명···위중증환자 128명뉴시스
- [속보] 국내발생 비수도권 128명···광주 32명·충북 21명·부산 19명 등뉴시스
- [속보] 국내발생 수도권 299명···경기 181명·서울 98명·인천 20명뉴시스
- [속보] 백신접종 이상반응 936건 늘어 4851건···사망 2건·아나필락시스 의심 10건뉴시스
- [속보] AZ 37만7138명·화이자 6208명 1차 접종완료···총 38만3346명뉴시스
- [속보] 신규확진 446명, 다시 400명대···국내발생 427명뉴시스
- [속보] 1월 경상수지 70.6억달러 흑자···전년동월대비 64.8억달러↑뉴시스
- 바이든, 女장군 2명 '전투사령관' 지명···"여성의 성취 인정하자"뉴시스
- 11번가, e커머스 업계 최초 무라벨 생수 출시뉴시스

[서울=뉴시스] 고은결 기자 = 주요 그룹의 대졸신입 공채폐지 발표가 이어지는 가운데, 기업 5곳 중 2곳은 신입사원보다 경력직 채용을 효율적으로 여긴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인크루트는 알바콜과 함께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2021년 대졸신입 채용동향'을 조사한 결과, '신입 및 경력사원 중 어떤 채용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묻자 응답자 40.4%는 '신입보다는 경력 및 중고신입 채용이 효율적'이라고 답했다고 27일 밝혔다. 나머지 59.6%는 '경력직과 별개로 신입사원 채용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응답에 참여한 기업은 대기업 104곳, 중견기업 157곳, 중소기업 444곳 등 총 705곳이다.
신입채용이 필요하다는 답변은 대기업에서 76.5%로 가장 높았고, 중견기업 66.9%, 중소기업 53.2% 순으로 집계됐다. 경력채용이 더 효율적이라고 본 기업은 대기업 23.5%인 반면 중견기업 33.1%, 중소기업 46.8%로 차이를 보였다.
신입채용이 필요하다고 답한 기업들은 그 이유로 ▲공채를 통한 유능한 인재 선점(28.6%) ▲경영진 의견(23.7%) ▲사업확장 등의 이유로 대규모 신입채용이 필요한 사업부문이 있음(23.5%) ▲조직 내 위계 구성을 갖추기 위함(14.3%) ▲기수문화 유지(8.2%) 등을 들었다.
반대로 경력직 및 중고신입을 더 반기는 기업들은 그 이유로 ▲실무에 곧장 투입할 인력이 필요(65.6%) ▲신입사원들의 잦은 입퇴사 반복(13.8%) ▲경영진 의견(10.6%) ▲공채 등 신입채용에 투자할 인력 및 비용이 없음(9.7%) 등을 꼽았다.
한편 인크루트 조사 결과 올해 2021년 신입사원을 뽑겠다는 기업은 38.7%로 지난해 41.2% 대비 2.5%p 줄었다. 채용방식도 달라졌다. 대졸신입 공채 계획은 3년 연속 감소했다. 2019년 하반기 49.6%에 달하던 공채비율이 2020년 하반기 39.6%, 올해는 30.1%로 줄었다.
반대로 수시 채용은 늘고 있다. 2019년 하반기 30.7%에 머물던 대졸 수시 모집비율은 지난해 41.4%, 올해는 49.9%를 기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e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srb7@hanmail.net전화 062-510-115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사랑방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