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당국 "AZ백신 수급 문제 없어···국내생산물량 수출 제한 고려 안해"뉴시스
- [속보] 당국 "화이자 백신, 6회분 접종 교육 필요···중앙예방접종센터서 먼저 시작"뉴시스
- [속보] 당국 "화이자 백신, 중앙예방접종센터서 27일 오전 9시부터 접종"뉴시스
- [속보] 당국 "AZ백신 온도 이탈, 적정온도 유지 위해 넣은 냉매 안정화 문제 추정"뉴시스
- [속보] 당국 "제주행 온도 이탈 AZ백신, 0.5도 벗어나···사용에는 문제 없지만 대체 수송 결정"뉴시스
- [속보] 당국 "코로나19 환자 치료 의료기관 의료진 외 접종 필요···AZ백신 추가 배정"뉴시스
- [속보] 3·1절 연휴···당국 "폐기량 최소화 위해 도착 5일 이내 백신접종 완료"뉴시스
- [속보] 당국 "27일부터 접종인원·이상반응 현황 등 누리집 공개"뉴시스
- [속보] 당국 "백신 공급량 변동 사항 반영 매월 접종 시행계획 마련"뉴시스
- [속보] 당국 "고위험의료기관·코로나19 대응요원 2월말까지 대상 확정"뉴시스
주민수용성 확보·난개발 방지
안전·친환경 그린뉴딜 실현

영광군이 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사업과 관련 지자체와 지역 주민들이 공유할 수 있는 제도와 기준을 마련했다.
22일 영광군에 따르면 지자체 주도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추진해 주민수용성을 확보하는 '영광군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추진 기준'을 마련하고 본격 시행한다.
이는 산업부에서 지난해 11월 11일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조성·지원 등에 관한 지침' 제정을 완료하고 이를 근거로 전남도에서 가이드라인 개정에 따른 것이다.
집적화단지 고시는 신재생법 시행령 개정의 후속조치로, 입지 요건, 민관협의회 운영, 사업계획 수립·평가 등 집적화단지 조성·지원 등을 골자로 했다.
기준의 주요내용은 발전용량 40㎽를 초과한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의무적으로 영광군 주도로 집적화단지로 조성하게 되며 계획단계부터 주민수용성을 확보하고 체계적인 발전사업을 통해 난개발 방지를 위해 전남도지사와 사전 협의를 거쳐야 한다.
다만 부득이한 사유로 집적화단지의 추진이 어려울 경우 전남도와 영광군이 협의해 인정하게 되면 개별법에 의거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특히 영광군에서 발전사업허가 신청을 받을 때 임의분할(쪼개기)이 의심되는 경우 임의분할 용량 합계가 1㎽를 초과한 때에는 산업부, 전남도, 에너지공단 등 관계기관에 통보하고 관계기관의 의견을 반영해 허가 여부를 판단하며, 1㎽ 미만인 경우에는 전남도와 협의 후 판단해 허가하게 된다.
또 영광군은 개발행위허가 단계에서 발전시설에 대한 군계획위원회 심의회 개최시 관할부서인 투자경제과장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아울러, 지정된 집적화단지의 사업계획에 따른 이행현황과 추진계획 보고서를 매년말까지 전남도와 한국에너지공단에 제출하게 된다.
김준성 영광군수는 "산업부의 집적화단지 고시 제정에 따른 전남도의 가이드라인 개정으로 우리군에서는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주민수용성과 환경성을 확보하게 됐다"며 "깨끗하고 안전한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 가속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부응하는 그린뉴딜 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임장현기자 locco@srb.co.kr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srb7@hanmail.net전화 062-510-115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사랑방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