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나다, J&J 백신 승인···1회 접종·보관 용이뉴시스
- 미국 1월 무역 적자 1.9% 증가···소비 회복되며 수입 폭등뉴시스
- 교황, 사상 첫 이라크 방문···"폭력과 극단주의 멈춰야"뉴시스
- 미 2월 일자리 38만개 늘었다···실업률 0.1%p 낮아져뉴시스
- 러시아, 두 번째 코로나 백신도 상용···"60대 이상 고령층도 접종"뉴시스
- 호주 총리 "바이든과 사상 첫 쿼드 정상회의"···이달 개최 전망 뉴시스
- 美ITC 'SK이노 잘못' 최종 판단에···SK는 반박, LG는 압박(종합)뉴시스
- 81년생 미안함은 잠시 아끼고 숨겨요뉴시스
- 日 코로나 신규환자 사흘째 1000명대...누계 43만8천 넘어뉴시스
- 러시아, 1회 접종 백신도 '임상 2상' 완료···85% 예방효과 전망뉴시스
박영선 장관 "특구·창업기업 수요에 맞춰 끊김없이 지원"

[서울=뉴시스]박영환 기자 = 전국의 21개 규제특구에서 지난 2019년 7월 이후 1250여명이 일자리를 새로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1차부터 3차까지 지정된 규제자유특구 내 기업 등의 고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8033명(2020년 12월말 기준)이 규제특구에 고용돼 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1~3차 특구 지정 전(6778명)보다 1255명이 증가한 것이다.
이 가운데 1·2차 규제특구(14곳)에서 1054명이, 3차 특구(7곳)에서 201명이 각각 채용됐다. 3차 특구는 작년 7월 지정된 뒤 올해 실증을 준비 중이다. 1차 특구(7곳)는 2019년 7월에, 2차 특구(7곳)는 같은해 11월 각각 지정됐다.
광주는 '그린에너지 저장장치 발전' 규제자유특구가 11월 지정된 바 있다.
특구별로는 ▲전북 친환경자동차특구에서 고용(+148명)이 가장 많이 증가했다. 이어 ▲대전 바이오 분야 특구(+146명) ▲초소형전기차 등 생산 공장이 구축된 전남 e-모빌리티 특구(+115명) ▲대구 스마트 웰니스 특구(+102명) 등 순이다.
기업규모별로는 소기업·소상공인(+546명, 43.5%), 중기업(+385명, 30.7%), 중견기업(+177명, 14.1%)이 전체 특구사업자(326개) 일자리 증가의 88.3%(1108명)를 차지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정보통신업, 전문 과학 기술서비스업(1050명)이 전체 고용 증가(1255명)의 83.7%를 차지했다. 이중 모빌리티(자율차, 친환경차 등), 의료기기, 배터리 등 제조업 비중(699명, 5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업력별로는 창업 후 7년 이상 54.7%(+686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창업 후 3년 이상 7년 미만 24.1%(+302명), 창업 후 3년 미만 21.3%(+267명)의 순이었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지역혁신성장의 성과가 조기에 가시화될 수 있도록 특구·창업기업의 수요에 맞춰 기술개발(R&D), 자금, 판로 지원 등 다양한 정책 수단을 끊김없이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unghp@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srb7@hanmail.net전화 062-510-115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사랑방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