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송파구 고시텔 관련 7명 확진···샤워실·화장실·주방 공동사용뉴시스
- [속보] 사천 공군 훈련비행단 비행교수 등 4명 확진뉴시스
- [속보]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서 49명 확진···3555명 조기발견뉴시스
- [속보] 코로나19 사망자 19명 늘어 1283명···위중증 8명 줄어 335명뉴시스
- [속보] 비수도권 국내발생 110명···부산 17명·강원 16명·대구 15명 등뉴시스
- [속보] 서울 국내발생 95명, 두달만에 두자리···경기 128명·인천 18명뉴시스
- 홈플러스, 폐폐트로 포장재 만든다···유통업계 최초뉴시스
- 중국 칭다오 해역서 4.6 지진···수도권도 "흔들림 감지"뉴시스
- 여수광양항만공사 임직원 제안 356건···아이디어 다양 뉴시스
- 심상정 "文대통령 입양 발언 부적절···野 2차 가해도 문제"뉴시스
작년 주택매매 총액 360조8000억…'역대 최대'
규제·공급 확대 동시 시행…집값 향방 지켜봐야

[서울=뉴시스] 이혜원 기자 = #. 오는 3월에 결혼을 앞두고 작년 11월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나홀로아파트를 매매한 A(35)씨. 한창 결혼준비 중인 A씨는 계획보다 많은 부분을 포기해야 했다. 이미 집에 들어간 돈이 너무 많아서다.
A씨는 "전세가 없기도 했고, 부동산 가격이 자꾸 오르는 것 같아 불안한 마음에 회사대출까지 받아 '영끌'했다"라며 "처음엔 좋았지만 이 오름세가 계속될 지 불안하다. 대출 때문에 출산 계획까지 미뤘다"고 말했다.
#. 작년 가을, 주변을 돌아보니 모두 자신의 집이 있는 것 같아 불안한 마음에 덜컥 서울 송파구에 있는 한 아파트 분양권을 매매한 B씨. 지금까지 모아둔 예·적금을 깨고 신용대출을 최고 한도로 받아 분양권을 샀다. 하지만 분양가보다 두 배가 넘는 금액을 주고 분양권을 산 B씨의 요즘 가장 큰 고민은 '꼭지에서 샀으면 어쩌나'하는 생각이다.
13일 온라인 부동산 관련 카페에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으다)을 해 집을 산 뒤 고민에 휩싸인 30대들의 글들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이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제침체를 완화하기 위해 인하된 기준금리 덕에 낮은 금리로 집을 매매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삶의 윤택함을 포기한 대신 집을 선택한 만큼 집값 등락에 대한 관심이 높다. '영끌'을 한 탓에 월급의 대부분이 대출 이자·원금으로 나가기 때문이다.
이같은 '영끌족'은 작년 한 해 가장 많이 늘어났을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작년 12월 말 신용대출 잔액은 133조6482억원으로 집계됐다. 연간 신용대출 규모는 23조7374억원이나 불었다.
실제 주택매매거래도 증가했다. 직방에 따르면 작년 주택매매 총액은 360조8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2019년 246조2000억원에 비해 114조6000억원 증가했고, 이전 총액이 가장 컸던 2015년 262조8000억원보다 98조원 가량 이상 늘어난 수치다.
이중 작년 아파트 매매거래 총액은 282조2000억원으로 이전 연간 주택 전체 유형의 매매거래 총액을 넘어섰다.
연령대로 보면 30대가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다. 부동산인포가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매매거래를 월별로 분석한 결과 서울과 경기, 대전, 울산 등에서 30대의 매수거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작년 1~10월까지 모든 달에서 30대의 아파트 매수가 40대를 웃돌았고, 경기도는 9월 30대의 매수세가 가장 강했다. 대전(8~10월), 울산(3~4월, 8~10월)도 30대의 아파트 구매가 이어졌다.
다만 올해는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 등 강도 높은 규제책과 더불어 공급확대책 등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전방위적인 정책이 시행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올해도 시중 통화량이 지속적으로 자산시장으로 들어오면서 주택 매매시장을 자극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의 확대와 함께 보유세 등 주택관련 과세 강화정책의 강도가 상당하기 때문에 이런 변화가 주택가격 시장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주택가격이 어떻게 움직일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march1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srb7@hanmail.net전화 062-510-115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사랑방미디어'
- 1광주시, 20년된 85㎡ 이하 아파트 시설개선 추진..
- 212월 광주 평균 분양가···3.3㎡당 1222만원..
- 3'수도권서 1시간50분' 호남고속철 무안공항역 곧 착공..
- 4광주 외국인의 55% 거주하는 광산구, 잇단 확진에 비상 ..
- 5영암 관음사발 코로나 광주까지···광주·전남 사망 19명..
- 6부동산 투기 안돼···"세 부담 강화, 탈세 치밀 검증"..
- 7광산구 "도시가스·통신비 등 감면신청하세요" ..
- 8흰 눈 덮인 장성 황룡강 '힐링 허브정원' ..
- 9광주 유학생 4명 등 잇단 외국인 확진 '긴장'..
- 10봉선동 제석산·북구 우산공원 훼손지 생태복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