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홍남기 "시스템반도체 인력부족 해소···석·박사급 등 2년간 3638명 공급"뉴시스
- [속보] 홍남기 "자율주행 4단계 상용화 지원···핵심기술 개발 1.1조 투입"뉴시스
- [속보]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서 45명 추가 발견, 총 3667명뉴시스
- [속보] 코로나19 사망 16명 늘어 누적 1316명···위중증환자 317명뉴시스
- [속보] 비수도권 국내발생 103명···부산 19명·경남 15명·전남 14명·충남 10명 등뉴시스
- [속보] 국내발생 380명 중 수도권 277명···경기 133명·서울 122명·인천 22명뉴시스
- [속보] 신규확진 401명, 이틀째 400명 초반···국내발생 380명뉴시스
- 홍남기 "내년까지 시스템반도체 인력 3638명 공급"뉴시스
- 금호타이어 '스마트 타이어' 하반기 출시···특허출원 중 뉴시스
- Sh수협은행, 2030 직원 아이디어 실무 반영한다뉴시스
추후 늘어날 가능성 커

광주지역 다주택자들의 증여 거래가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대다수 주택의 종합부동산세(종부세)가 사상 최대로 오르면서 처분 대신 증여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3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광주 지역의 주택과 아파트의 증여 건수는 5천248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4천764건) 동기 대비 484건 증가한 수치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지난 2017년 증여 건수는 4천125건으로 조사됐고 2018년 4천841건, 2019년에는 5천814건이 집계됐다. 매년 700여건 이상 늘어난 셈이다.

특히 올해 10월까지의 증여 건수 가운데 아파트는 2천208건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1천993건) 대비 215건 늘어난 수치로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2천건을 넘어섰다.
자치구별로 보면 북구 812건, 서구 380건, 동구 366건, 광산구 363건, 남구 287건 순으로 증여 거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주택 증여 역시 전년(2771건) 동기 대비 269건 증가한 3천40건으로 집계됐다.
자치구별로 주택 증여거래가 가장 많은 곳은 북구 997건, 광산구 556건, 서구 543건, 동구 514건, 남구 430건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증여가 늘어나는 것은 향후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과 다주택자의 양도세 중과세율이 높아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특히 올해는 대다수 주택의 종부세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다주택자들의 증여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잇단 증여 건수 증가세에 지역 한 부동산 전문가는 "다주택자들은 앞으로 바뀔 상황을 지켜보다가 증여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며 "여의치 않을 경우 주택을 매도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김누리기자 nurikim15@srb.co.kr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srb7@hanmail.net전화 062-510-115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사랑방미디어'
- 1[이브닝브리핑]"화장실 공동사용·거리두기 불가능"..
- 2첨단3지구 진입도로 등 광주 간선도로망 대폭 확충..
- 3글로벌모터스·한전 등 지역 주요기업 채용일정은?..
- 4법인이 내놓은 주택, 광주 개인들이 샀다..
- 5GGM 신입사원 공채에 1만2천명 몰렸다..
- 6'중산층 포함' 통합 공공임대, 4인가구 월소득 731만원이면 ..
- 7지난달 광주 주택 매매거래량 늘고 전월세 줄었다..
- 8'대한'에는 얼얼한 매운맛이 딱! 광주 매운맛집 3곳..
- 9광주 심상찮은 외국인 확진, 우려스런 '검사 기피' ..
- 10'경로 미궁' 고구마 농장발 코로나 확산···나주 부녀도 확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