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소형·박스디자인 탈피···첨단시설로 '거주여건 향상'

입력 2020.11.26. 16:37 수정 2020.11.26. 16:44 댓글 4개
평수 넓어지고 소득 기준 완화
도심 지역 위치로 접근성 강화
사전 입주자 모집해 맞춤 특화

광주시가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편견을 깨고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며 야심차게 내놓은 '광주형 평생주택'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저소득·밀집·단순디자인 등 공공임대주택의 단점으로 지적된 요소들을 대거 혁파하는 대신 '공동체 문화' 등 공동주택의 장점을 살리는 형태로 추진된다.

26일 광주시가 제시한 '광주형 평생주택'은 크게 10가지에서 기존 공공임대주택과 다르다.

우선 기존 공공임대주택은 영구임대, 국민임대, 행복주택 등으로 분류됐지만 광주형 평생주택은 '중형 공공임대' 방식이다. 기존 공공임대주택 60㎡(18.15평) 이하에서 85㎡(25.71평) 이하로 확대된다.

공급대상도 저소득층, 주거취약계층에서 무주택 중산층 이하로 확대된다. 다만 광주시에서 1년 이상 거주해야 하는 조건이 있다.

중산층으로 대상을 확대하면서 소득기준 또한 중위소득의 150% 이하까지 허용한다. 올해 기준 중위소득 150%는 3인가구 월소득 581만원, 4인가구 712만원이다.

임대료의 경우 기존 공공임대주택이 대체로 시세의 30~80%인 것과 달리 60~90%로 다소 높아졌지만 거주기간을 30년 이상으로 확대하면서 사실상 평생 거주가 가능하다는 게 광주시의 설명이다.

또 기존 공공임대주택이 외곽을 중심으로 한 택지개발단지나 낙후된 구도심에 주로 건립됐던 것과 달리 광주형 행복주택은 거주인프라가 잘 갖춰진 도심 내 핵심지역에 위치한다. 광주 상무지구 등 광주도시공사 소유의 땅이 1차 대상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저소득층이 밀집한 단지에서 다양한 계층이 어울려 거주하는 '소셜믹스'로 구성된다. 국공립어린이집과 생활문화센터 등 생활SOC를 대거 설치해 이를 뒷받침한다.

또 사업계획 승인 전에 입주자를 모집해 설계부터 입주 후 아파트 관리 운영까지 모든 과정에 참여시켜 수요자 맞춤형 단지로 조성한다. 입주민 공동운영을 통해 폐쇄적인 아파트 문화를 개선한 새로운 주거공동체 문화를 창출한다.

단지 조성도 기본 수립 단계부터 총괄·공공건축가를 참여시켜 상자형 아파트 대신 우수한 디자인의 '살고 싶은' 주택으로 특화한다. 나아가 미래형 공공임대주택 모델로 인공지능, IoT(사물인터넷) 도입과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 등 스마트·녹색건축물로 '그린 뉴딜'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이용섭 시장은 "이번 계획은 중산층 이하 시민들이 평생 주거 걱정 없이 살 수 있도록 집값을 안정시키고 주택이 자산 증식수단이 되지 않도록 소유개념에서 거주개념으로 바꿔가기 위한 것"이라며 "'광주형 평생주택'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공공임대주택의 선도적 모델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삼섭기자 seobi@srb.co.kr

# 관련키워드
# 이건어때요?
댓글4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