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역외 유출에 줄폐업˝ 광주시 청년정책 ´헛바퀴´

입력 2017.09.20. 11:42 수정 2018.05.24. 09:57 댓글 0개
청년고용률 광역시 최저, 청년창업 79% '2년내 폐업'
이정현 의원 "백화점식 지원보다 맞춤형 지원" 주문
이정현 광주시의원.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광주시가 민선6기 들어 청년정책에 예산과 행정력을 쏟아붓고 있으나, 정작 일자리를 찾아 다른 지역으로 빠져 나가는 청년들은 늘고, 청년 창업기업 10곳 중 8곳은 2년 안에 폐업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광주시의회 이정현(광산1, 국민의당) 의원은 20일 제261회 임시회 4차 본의회 시정질문을 통해 "광주시가 핵심정책인 청년정책이 청년들의 취업이나 창업에는 큰 도움이 되는 않고 있어 특단의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실제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지난 4월 발표한 지역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 청년 고용률은 35.0%로 7개 광역시 중 가장 낮았고, 전국 평균(42.3%)과도 7.3%포인트나 차이났다.

호남통계청이 지난달 발표한 올해 2분기 지역 경제동향에서도 지난 2015년부터 올해 2분기까지 광주인구 2만1373명이 다른 지역으로 순유출됐고, 이 중 20-39세 청년이 1만3733명으로 전체 64.25%에 달했다. 대부분 일자리를 찾기 위한 '구직 유출'로 분석됐다.

청년창업도 문제다. 행·재정적으로 창업을 지원하고 전통시장 내 청년상인들을 유치해 활력을 불어넣고 있으나 생존율은 53%에 불과하다.

광주전남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광주시가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청년창조기업지원사업'으로 지원한 청년기업 325곳 중 폐업한 곳이 152곳에 이르고, 이 중 창업 후 1년 미만 폐업은 72곳(47.4%)에 달했고, 1년 이상 2년 미만 폐업도 48곳(31.6%)에 달해 79%가 2년 안에 문을 닫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경영상 애로사항으로는 자금 부족이 77곳(39.1%)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판매처 부족, 경영노하우 부족 순으로 나타나 창업경험 부족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됐다.

이 의원은 "청년창업의 실패를 줄이기 위해서는 백화점식 지원보다는 맞춤형 지원이 타당하고 새 정부 정책기조에 맞춰 청년정책 패러다임도 현실적이고 지속가능한 정책으로 바뀌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이에 손경종 광주시 일자리경제국장은 "기업 등 민간 부문을 중심으로 좋은 일자리 만들기와 투자 유치에 주력하고, 창업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아이디어 발굴, 사업화, 판로 개척, 자금 연계 등 창업 전 과정에 대한 지원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윤장현 시장은 "누군가 '왜 시장을 하냐'고 묻는다면 청년들의 미래 먹거리를 위해서라고 단연코 말씀드릴 수 있다"면서 "취업난과 실업난에서 시작된 청년 문제가 금융, 주거, 심리문제로 확대되지 않도록 종합지원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goodchang@newsis.com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