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그것은 둘됨··임지연 ‘사랑, 삶의 재발명’

입력 2017.09.19. 10:40 댓글 0개

【서울=뉴시스】 신동립 기자 = 사랑은 ‘둘 됨’이다. 양자의 완벽한 합일로 여기지 않고 두 주체의 개별성이 유지된 만남으로 생각해야 한다.

‘사랑, 삶의 재발명’의 귀띔이다.

“사랑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첫눈에 반했던 사랑의 열기를 평생에 걸쳐 동일하게 유지할 필요도 없다. 서로 다른 두 사람이 반드시 하나가 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우리를 눈멀게 하는 낭만적 사랑의 미덕이 분명 있지만, 사랑이 근간이 되는 가족의 형태가 다양화되듯 현재를 살아가는 각자에게는 저마다에게 맞는 사랑이 필요한 것이다. 사랑을 하는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몰랐던 모습을 알게 되고 상대의 사랑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내가 어떤 사람인지 돌아봄으로써 삶을 새로이 발견하게 된다. 그렇듯이, 사랑 또한 우리의 삶과 ‘지금-여기’의 정신에 맞추어 끊임없이 재발명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짚는다.

사랑은 결혼이 이뤄지는 청년기의 전유물도 아니다. “연애감정은 기실 ‘전연령가’다. 위기철의 ‘아홉 살 인생’의 주인공 여민도, 문제적 영화 ‘죽어도 좋아’에 출연했던 노부부에게도 사랑은 동일하다. 에로스가 배제된 풋사랑, 멋모르는 감정의 요동침, 건강 증진의 일환에 불과한 성행위, 노년의 의탁할 곳 등 다양한 양태로 포장되곤 하지만 사실 사랑의 본질은 연령대를 초월하여 동일하다. 남편의 첫사랑이 오랜 부부관계에 파문을 일으키는 영화 ‘45년 후’에서 남편 제프와 아내 케이트의 불화는 그들이 나이가 들면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결혼 이전부터 있었던 서로의 관점 차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사랑은 왜 어려운가. 저자는 만남과 이별, 구속과 자유, 희생과 자기 보존 등 다양한 역설적 속성을 내재하고 있는 사랑의 본질에서 찾는다. 자본주의 아래 결혼 시장이 발달했듯 사회적 구조의 압력에서 찾기도 한다. 지금 너무 사랑하지만 언제 사랑이 그칠지 몰라 불안하기만 하고, 불안함이 그치고 안정을 찾고 싶지만 안정에서 권태가 온다. 사랑은 본질적으로 역설적인 것들로 가득 차 필연적으로 불안을 가져온다고 본다.

사랑이 ‘영원히, 단둘이서’였던 시기는 그리 오래지 않았다. 지은이는 사랑의 역사를 소개하는 데에 많은 분량을 할애한다. 기사 랜슬롯과 기네비어 사이에서와 같이 이념적으로 완벽을 추구했던 이상적 사랑, 결혼제도 바깥에서만 존재했던 열정적 사랑, 자살한 베르테르와 같이 사랑을 박제하고 완벽히 융합된 두 사람을 꾀하는 낭만적 사랑, 현대 결혼 시장의 형성으로 알 수 있는 자본주의에서의 사랑으로 이어진다.

한국의 경우에는 20세기 초반 일본을 통해 ‘러브’의 번역어인 ‘연애’가 수입되면서 낭만적 사랑과 자본주의가 깃든 사랑이 단기간에 이식됐다. 이 과도기적 급진성 때문에 근대의 낭만적 사랑을 현대에 현현시키려다 보니 자본주의 결혼시장의 논리와 뒤엉키면서 사랑이 힘들어진다고 분석한다.

그래서 권한다. “우리는 지금의 시대와 사회에 맞춘, 그리고 저마다의 삶에 맞는 사랑을 해야 한다. 사랑은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경구나 연애 지침서, 혹은 심리테스트 속에 있는 것이 아니다. 나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고 있는 사람이 어떤 일반화에도 현혹되지 않은 채 상대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려 애쓸 때 이루어지는 것이다. 사회와 의식이 발전하면서 사랑은 더욱 다양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 다른 성별 간의 전유물도 아니고, 심지어는 폴리아모리에서 볼 수 있듯 두 사람 간에 일어나는 것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아내가 결혼했다’와 같은 소설도 나오고 동성애를 위시한 무성애, 양성애 등 다양한 성적 지향에 관한 사회적 차원의 논의도 이뤄질 수 있다. 한 세대 이전에 익숙지 않았던 이러한 사랑의 양식들은 통념과 지속적으로 부딪히고 새로운 실험에 빠지게 되겠지만, 무엇보다 확실한 것은 그 어떤 것들도 사랑이 아니지는 않다는 것이다.”

상대를 개인이 아니라 한 종으로 이해하는 것은 간편할지언정 그 사람의 내면을 제대로 보지 못하게 만든다. 사랑은 상대를 온전히 내 것으로 만들거나 그 사람과 온전히 하나가 되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니다. 사랑은 바로 ‘둘 됨’이다. 임지연(건국대 몸문화연구소 KU 연구 전임교수) 지음, 168쪽, 8000원, 은행나무

reap@newsis.com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