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그녀>를 통해 본 인공지능의 미래

입력 2017.09.12. 09:46 수정 2017.09.13. 09:18 댓글 0개
맹수진 아침시평 서울환경영화제 프로그래머/영화평론가

지난 주말 부모님댁을 방문하니 “언니가 말하는 텔레비전을 사왔다”고 어머니가 흥분하신다.

세계 최초 인공지능TV라고 홍보하며 판매에 들어간 kt의 ‘기가지니 GiGA Genie’ 상품이었다.

셋톱박스에 인공지능을 탑재한 ‘기가지니’를 TV에 연결하면 어떤 TV라도 스마트 인공지능 TV로 만들어준다니, 먼저 출시된 SK텔레콤의 ‘누구(NUGU)’보다 한 단계 진화한 상품이었다. 바로 TV를 틀어보았다.

언니는 이 장비에 ‘지니’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고 TV 앞에서 “지니야, 오늘 날씨가 어떠니?” “지니야, 교통정보 좀 알려줘.” “지니야, KBS 틀어.” 등 몇 개의 질문과 명령을 던졌다.

‘지니’는 그럭저럭 명령에 따라 대답을 하며 임무를 수행했다. 물론 지니의 목소리는 컴퓨터로 녹음된 전형적인 기계음에 불과했고 멋대가리 없이 대답했으며 조금만 문장이 길어지면 “정보가 입력되어 있지 않다”는 말을 반복했다.

아직은 인공지능과 대화한다기보다는 음성으로 기계를 조작한다는 느낌이었다. 몇가지 시연 끝에 나는 지니가 좀 더 똑똑해진 뒤에 사겠다고 결론 내렸다. 아직 초보 단계이기는 하지만 ‘기가지니’라는 이름의 인공지능(AI)은 수많은 SF영화들에서 보았던 일들이 더 이상 상상의 영역이 아닌 현실의 영역으로 들어섰음을 실감하게 한다.

AI를 다룬 영화들 가운데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스파이크 존스의 <그녀 HER>였다.

2013년 개봉한 <그녀>는 <존 말코비치되기>라는 독특한 영화를 만든 할리우드 감독 스파이크 존스가 직접 시나리오를 쓰고 연출한 작품이다. 영화의 주인공 시어도르는 사람들의 마음을 설득력 있게 표현해주는 편지 대필 작가이다. 그러나 정작 그는 아내와 이혼한 뒤로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고 외로움에 빠져있다. 어느날 시어도어는 사랑에 빠지는데 그 대상이 인격형 인공지능체계인 ‘사만다’이다.

시어도어는 시스템의 초기설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연령, 젠더, 목소리, 이름 등을 입력해 ‘사만다’라는 존재를 얻는다. 그러니까 사만다는 그의 취향을 반영해 입력된 프로그램이다.

영화는 육체를 지닌 인간들 사이를 연결하며 가짜 감정을 판매하는 시어도어가 정작 육체가 없는 AI와 충만한 감정을 교류하는 아이러니를 다룬다. 그러나 사실 이런 이야기는 그리 새로울 게 없다. 수많은 SF영화들은 이미 AI의 마지막 단계인 감정을 지닌 사이보그에 대해 탁월한 상상력을 펼쳐 왔다. 감정은 언제나 인간성의 최후의 보루로 묘사되었고 AI는 인간 존재에 대해 탐구하는 상상의 수단이었다.


<그녀>의 흥미로운 점은 이 영화가 AI라는 시스템의 진화 방식을 충격적으로 ‘보여준다’는 사실에 있다. 인간에게는 불가능한 엄청난 속도로 정보를 습득하고 처리해가는 사만다는 그 어떤 여성보다 섬세하게 시어도어의 관계에 대한 갈증을 어루만져준다. 그러나 상상을 초월하는 속도로 진화하던 그녀의 학습능력은 시어도어가 그녀와의 유일한 관계에서 충만함을 느끼는 순간 수백 명과 동시에 동일한 관계를 맺는 능력을 갖게 된다. 그리고 이마저도 넘어서는 순간이 온다. 이제 그녀는 시어도어가 절대로 이해할 수 없는 정보의 시공간으로 진입한다.

이 영화에서 가장 섬뜩하고 낯선 순간은 미래학이 소위 ‘기술적 특이점 technological singularity’라고 명명한 순간을 장면화 하는 순간이다. ‘기술적 특이점’은 인간이 기술 발전을 이해할 수 있는 한계점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기술적 특이점에 이르면 AI는 엄청난 속도의 자체학습을 통해 지능폭발을 일으키는데, 이 때 인공지능은 인간지능의 총합을 넘어서고 인간은 자신이 만들어낸 기술을 더 이상 이해할 수 없게 된다. 수많은 SF에서 묘사해온 디스토피아의 미래가 시작되는 것이다.

사만다는 선한 인공지능이지만 그녀가 자체진화를 통해 도달할 미래가 어떤 모습일지 우리는 예측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2029년에 인간과 같은 수준의 인공지능이 개발되고 2099년에는 가정용 PC 하나가 인류 전체의 두뇌보다 10억배 이상의 지능을 갖게 된다고 말한다.

<그녀>가 이전의 SF와 전혀 다르게 느껴지는 것은, 알파고가 등장하고 ‘기가지니’가 상용화되기 시작한 지금, 기술에 관한 우리의 두려움이 상상의 영역을 넘어 현실의 문제가 되었음을 각성시키기 때문이다. 이 인공지능이 생물학적 인간의 한계를 보완해줄 유용한 존재가 될지, 우리를 통제 불가능한 디스토피아로 이끄는 전령사가 될지 알 수 없다. 하지만 그 시기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가까이 와 있다는 것만은 분명하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