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목수와 예술가 사이에서

입력 2017.09.11. 19:59 수정 2017.09.13. 08:42 댓글 0개
나희덕의 예술 이야기 시인, 조선대 문화창작과 교수
나희덕의 예술 이야기 4회

롯데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는 목수 김씨의 아홉 번째 개인전 ‘개와 의자의 시간’을 둘러보고 작가와 짧은 대화를 나누었다. 목수 김씨는 자신의 작품을 굳이 예술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창조적인 목공작업을 왜 그렇게 비하하느냐는 질문에 “비하하는 게 아닌데...”라고 그는 대답했다. 그 말을 듣는 순간, 나의 질문이 전제부터 매우 어리석고 무례한 것이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인간과 사물의 기원’에서 장 그노스라는 가상적 저자를 내세워 “차라리 조폭이 더 나아. 체제의 옹호자들. 질서의 노예들. 슬로건을 만들어내는 작가들과 캠페인을 벌이는 예술가들! 자신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르는 사람들이 스스로를 부르는 말이 예술가지. 세상에서 가장 경멸스런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라고 말했던 그가 아닌가. 예술가에 대한 생각이 이럴진대 자신의 작품이 예술이라 불리든 그렇지 않든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현대성의 형성-서울에 딴스홀을 許하라’를 펴내며 중요한 현대문화 연구자로 알려져 온 김진송은 마흔 살 무렵부터 목수의 길을 걷게 된다. 어느 날 “집 짓는 대목은 못 될지언정, 주변에 있는 나무를 주워와 쓸모를 찾는 목수라면 못할 것도 없겠다”(‘목수일기’) 싶어서였다. 목수 김씨를 필명으로 쓴 책도 여러 권 펴냈다. 문명과 지식에 대한 깊은 회의와 불만이 그를 수공업적 창조의 세계로 이끌었던 것일까. 목수 김씨는 나무를 깎고 다듬어 무언가 만드는 행위를 통해 인간의 문명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과 상상력의 단초들을 이끌어내었고, ‘목수일기’‘상상목공소’‘이야기를 만드는 기계’등은 그 대표적인 저작들이다.

희랍어로 ‘만들다’라는 뜻인 ‘포이에시스(poiesis)’는 원래 기술적 제작과 심미적 창조를 아우르는 개념이었다. 예술(art)의 기원인 라틴어 ‘아르스(ars)’와 희랍어 ‘테크네(techne)’도 그리 멀지 않은 말이었다. 이렇게 예술 장르들이 분화되기 이전에는 장인과 예술가의 구분이 따로 없었고, 그들의 작업과정에서 머리와 손은 따로 움직이지 않았다. ‘김진송’이라는 인문학자와 ‘목수 김씨’라는 장인 역시 한 사람 속에서 협업하는 두 페르소나(persona)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전시의 주요 테마인 ‘개’와 ‘의자’는 그의 다른 저서에서도 흥미로운 우화로 다루어진 적이 있다. ‘개와 의자의 기원’이라는 작품은 아홉 개의 조각들을 나열함으로써 네 발 달린 개가 의자를 거쳐 두 발로 직립한 인간의 형상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한눈에 보여준다. “그 뒤로도 의자와 개는 인간과 더불어 수많은 진화의 과정을 거쳤다. 의자는 개의 행동양식을 닮아 진화했고, 인간은 의자 모양에 따라 행동했으며, 개는 또 그런 인간을 따라하는 식이었다.” 따라서 인간과 개와 의자, 이 트라이앵글을 잘 관찰해보면 거기에는 인간의 본성과 문명의 역사가 고스란히 들어 있다. 일반적인 진화론과는 거리가 멀지만 그가 말하는 개와 의자의 기원을 듣고 있으면 어쩐지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그것은 아마 진리를 자처하며 다투지 않고 타자들과의 대화를 통해 펼쳐내는 이야기와 상상력 덕분일 것이다.

‘개가 되고 싶은 의자, 의자가 되고 싶은 개’라는 작품에는 의자의 형상과 개의 형상이 뒤섞여 있다. 인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문명의 그물코를 만들어 온 개와 의자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그 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개와 의자들이 있다. 다리가 없는 의자부터 다리가 한 개, 두 개, 세 개인 의자도 있다. 의자의 다리는 언제나 네 개라는 상투적 관념을 깨뜨리며 의자의 새로운 쓸모를 창안해내는 의자들. 이렇게 목수 김씨의 글과 목물들은 자명한 사실이나 친근한 사물에 대해 기원부터 다시 생각해보고 그 무한한 변용 가능성을 상상하게 한다. 진정한 예술가란 사실 그런 역할을 하는 사람이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