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40년만에 신군부 강제징집 문제 재조명한다

입력 2020.06.22. 17:48 수정 2020.06.22. 18:11 댓글 0개
24일 5·18 기록관서 학술행사 갖고
피해 사례 알리고 진상규명 목소리 낸다
지난해 피해자 모임 결성 후 첫 행사
총을 든 청년들이 1980년 5월 24일 프락치나 간첩으로 의심되는 청년의 손을 뒤로 묶고 시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전남도청으로 연행하고 있다. 박태홍 뉴시스 편집위원이 1980년 당시 한국일보 사진기자로 재직중 5·18 광주 참상을 취재하며 기록한 사진을 5·18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에 즈음해 최초로 공개했다.(사진=한국일보 제공) 뉴시스

5·18민주화운동 이후 민주화를 부르짖던 청년들을 군대로 강제로 입영시킨 신군부의 국가폭력 실태를 알리는 공식적인 행사가 40년만에 처음으로 열린다.

22일 강제징집·녹화·선도공작 진실규명위원회(위원회)에 따르면 위원회는 24일 오후 1시부터 광주 동구 5·18민주화운동기록관 7층에서 신군부 강제징집·녹화사업·선도공작 피해자들의 국가폭력 피해를 밝히는 학술행사를 갖는다.

위원회는 전두환 정권 시절 시위나 집회 등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다가 경찰에 의해 강제로 군대에 입영되거나, 대학내 경찰 프락치 활동에 의해 피해를 입은 이들이 모였다.

지난해 12월 전두환 자택 앞에서 출범식을 가졌고 지난 4월 27일 전두환 재판이 있던 날 광주지법 앞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번 학술 대회는 위원회 설립 이후 처음으로 이뤄지는 공식 행사다.

석원호 경북대 교수가 '국가폭력의5.18, 강제징집·녹화·선도공작의 윤리적·철학적 의미'를 주제로, 전 국가인권위 사무총장을 역임한 조영선 변호사가 '강제징집·녹화·선도공작 국가폭력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묻다'를 주제로 각각 발제한다.

2007년 과거사위원회가 밝힌 강제징집·녹화·선도공작 피해자 규모는 전국 1천 200명이며 의문사 희생자가 9명, 호남권 피해자는 113명이 접수됐다.

그러나 아직 피해 규모가 정확히 파악된 바가 없는 만큼 위원회는 향후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명예회복을 위한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서충섭기자 zorba85@srb.co.kr

# 관련키워드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