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에스퍼 美국방, '연방군 투입' 우왕좌왕···경질설 솔솔

입력 2020.06.04. 09:34 댓글 0개
"나는 내란법 지지 안 해" 공개 반기 들어
백악관 회의 후 워싱턴 병력 원대 복귀 결정 번복
백악관 대변인, 경질설 질문에 "현재 여전히 장관"
[워싱턴=AP/뉴시스]5월15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백악관 브리핑에서 마크 에스퍼 국무장관(오른쪽)의 발언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왼쪽)이 듣고 있다. 2020.06.04.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미국에서 조지 플로이드 사망에 항의하는 시위가 지속하는 가운데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이 이례적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엇박자를 냈다가 자세를 낮췄다. 시위대를 포함한 자국민 보호와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 진압 요청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는 에스퍼 장관을 두고 미 언론은 경질 가능성도 거론했다.

3일(현지시간)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에스퍼 장관이 백악관과의 관계에서 살얼음판을 걸으며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고 전했다.

대규모 시위 국면에서 에스퍼 장관은 연방군을 동원해 시위대를 무력 진압하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주장에 동조해왔다. 이 때문에 시위대를 적으로 취급하면서 군대를 정치화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런데 돌연 이날 브리핑에서 모두를 깜짝 놀라게 하는 발언이 나왔다. 그는 "사법 집행에 현역 병력을 사용하는 선택은 최후의 수단이어야만 한다"며 "지금 우리는 그런 상황에 있지 않다. 나는 내란법(Insurrection Act) 발동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법은 대통령 직권으로 주에 군을 배치하도록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 법을 발동할지가 초미의 관심사인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위에서 나타나는 일부 폭력 사태와 관련해 "폭도"라는 표현을 쓰며 강경 진압 기조를 수차례 강조해왔다.

미 전역 시위 현장을 '전쟁터(battle space)'라고 표현한 데 대해서도 해명했다.

그는 국방부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라면서 "사람들, 특히 우리 미국인들에게 초점을 맞춘 표현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시위가 시작한 미네소타주 주지사와 통화에서 그런 표현을 썼다면서 "돌이켜 생각해보면, 더 중요한 문제들에서 주의가 산만해지지 않도록 다른 단어를 사용해야 했다"고 밝혔다.

[워싱턴=AP/뉴시스]3일(현지시간) 미국 수도 워싱턴D.C 백악관 인근에서 조지 플로이드 사망에 항의하는 시위가 이어지는 가운데 육군 특수부대의 모습이 보이고 있다. 2020.06.04.

또 유사시 병력 지원을 목적으로 워싱턴D.C 인근에 배치된 82 공수부대 신속대응부대(IRF) 200명에 대해 원대 복귀를 명령했다.

그러더니 백악관과 논의 뒤 이 결정을 번복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AP통신에 따르면 라이언 매카시 미 육군장관은 에스퍼 장관이 백악관 회의에 참석한 뒤 이 같은 번복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나 참모가 워싱턴D.C에서 병력을 유지하도록 에스퍼 장관을 압박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심상치 않은 균열에 경질설이 돌고 있다.

이날 케일리 매커내니 백악관 대변인 브리핑에서는 "대통령이 여전히 에스퍼 장관을 신뢰하고 있느냐"는 질문이 나왔다.

매커내니 대변인은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에스퍼 장관에 대한 신뢰를 잃으면, 여러분(기자들)이 가장 먼저 알게 될 것"이라며 "현 시점에서 에스퍼 장관은 여전히 장관"이라고 답했다.

CNN에 따르면 공화당의 한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에스퍼 장관을 존중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에스퍼 장관의 영향력이 거의 없다시피 했으며 본질적으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지휘 아래 있었다면서, 이날 브리핑이 의심할 여지 없이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소식통 3명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및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등 고위 참모들은 에스퍼 장관의 발언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특히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에스퍼 장관이 백악관과 반대되는 말을 한 사례를 인쇄물로 정리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한 적이 적어도 한번은 있다고 CNN은 전했다.

대선이 5개월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경질이 쉽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이 신임을 잃은 고위 관리를 그대로 방치하면서 힘겹게 직을 유지하도록 해온 전례가 있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ut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