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다시 강추위로 기온 '뚝'···미세먼지 보통뉴시스
- 충북 아침 영하권 추위 '쌀쌀'···낮 영하 1~2도 뉴시스
- [CES 2021] 세계 최초 무인안경 동물원·3차원 디스플레이...눈길 끈 혁신 IT 제품·기술들뉴시스
- 결혼자금 목표, 남 1억2천만·여 6700만...부족하면 '대출'뉴시스
- [넷플릭스 추천]아웃사이드 더 와이어·슈츠9·기생수 外뉴시스
- "맛·건강 모두 잡았다"···겨울철 면역력 높이는 팥 먹거리뉴시스
- 이마트·롯데마트"金란 싸게 팝니다"뉴시스
- 눈 높아진 소비자...음료도 빵도 '프리미엄'으로뉴시스
- [오늘의 주요일정]사회(1월16일 토요일)뉴시스
- 與 대권 구도 요동···이낙연 '휘청' 이재명 '기세' 정세균 '시동'뉴시스

[광주=뉴시스] 송창헌 기자 = 조선대학교에서 시간강사로 재직 중 논문대필 관행 등을 고발하며 스스로 숨진 고(故) 서정민 박사 10주기를 맞아·시민단체가 진상조사 재실시와 연구윤리 확립을 촉구했다.
공익재정연구소와 평등노동자회 광주위원회, 학벌없는사회 시민모임, 전국대학강사노조로 구성된 '서정민을 기억하는 사람들'과 광주청년유니온,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대학원생노조는 25일 조선대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 박사에 대한 명예회복과 제대로 된 진상조사, 연구윤리 확립 등을 요구했다.
고인은 2010년 유서를 통해 교수와 강사간에 이뤄지는 논문대필 관행을 폭로했으나 대학 측은 '연구부정이 없었다'는 결론내렸다.
이후 유족들은 조선대와 해당 교수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했으나 2015년 광주고등법원은 광범위한 논문대필이 있었음을 인정하면서도 '강요에 의한 게 아니었다'는 이유로 기각판결을 내렸다.
서 박사의 죽음 이후 시간강사의 신분 보장과 처우개선을 위한 이른바 '강사법'이 입법됐고, 8년 간의 시행유예 끝에 2019년 8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시간강사 문제를 드러내고 논문대필 관행을 고발했던 서 박사의 명예회복과 이에 대한 조선대의 제대로 된 진상조사는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대학 측은 사건 직후 진상조사를 벌였으나, 조사위 구성에서부터 유족, 강사단체가 제기한 불공정 논란을 수용하지 않았고 결국 '연구윤리위반이 아니다'는 판정을 내렸다.
논문대필 사실을 인정한 고법의 판결 이후에도 그에 따른 재조사를 실시하지 않고 있다. 그러는 사이 대학 내 연구윤리위반 사례는 끊이질 않고 있다고 단체 측은 주장했다.
'서정민을 기억하는 사람들' 등은 "조선대의 문제이자 '강사법' 제정의 계기가 됐던 서 박사 사건에 대해 대학 측이 제대로 해결하지 않고 연구윤리 확립에 소홀했던 과거를 반성하지 않는다면, 공영형 사립대로의 전환도 설득력을 얻기 어려울 것"이라며 "책임있는 대안 수립"을 촉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goodcha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srb7@hanmail.net전화 062-510-115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사랑방미디어'
- 1이것만 아시면 됩니다···연말정산 총정리..
- 2'조정대상지역' 묶인 광주 주택매매심리 '뚝'..
- 3'상생路' 광주 하남~장성 삼계 15.4km 도로 뚫린다..
- 4광주시 '특혜 시비' 중앙공원 1지구 공개토론키로..
- 5광주 '모임금지' 유지하고 체육시설 등 현실화할 듯..
- 6"부동산 세제강화 흔들림없이" 양도세 완화에 선..
- 7영암 시골마을 사찰 관련 코로나19 집단감염..
- 8"제주도 가려고"···형 신분증 들고 공항 온 황당 60대..
- 9효천1지구·방림초·조선대 등 오가는 마을버스 재운행..
- 10신규확진자 4명 추가···양동시장·중앙병원 주춤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