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도종환 장관 옛 전남도청 복원 공식화 속도

입력 2017.08.28. 18:56 수정 2017.08.28. 18:56 댓글 0개

도종환 장관 옛 전남도청 복원 공식화 속도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옛 전남도청 복원을 기정사실화함에 따라 원형복원 사업이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청 원형복원을 두고 1년9개월 넘게 이어져온 지역사회 갈등도 일단락 될 전망이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8일 광주를 방문해 ‘옛 전남도청 복원을 위한 범시도민대책위’와 간담회를 갖고 “옛 전남도청은 이제 복원을 할 것인가 말 것인가 차원을 넘어 어떻게 복원할 것인지를 논의하는 시점에 와 있다”며 “복원 대상은 건물에 따라 건축연도 등의 차이는 있지만 도청 본관과 별관, 민원실(회의실), 경찰청 본관, 경찰청 민원실, 상무관 등 6개 건물 전체가 대상이다”고 분명히 밝혔다.

도 장관이 옛 도청복원에 대한 의지를 명확히 함에 따라 대책위에서 추진하고 있는 안을 토대로 도청이 원형복원 될 가능성이 커졌다.

◆어떻게 복원되나

현재 대책위는 옛 전남도청 본관과 별관, 민원실(회의실), 경찰청 본관, 경찰청 민원실, 상무관 등 6개 건축물을 80년 5월 당시 원형대로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복원 시점은 1980년 5월18일부터 27일까지 10일간으로 건물 원형을 복원한 후 항쟁의 모습을 재현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재 단절돼 있는 옛 도청 본관과 별관 3~4층을 ‘오월의 문’으로 연결하고 본관과 민원실을 각각 잇는 연결 통로도 복원하기로 했다.

국립 아시아문화전당 구조변경 과정에서 철거된 이 연결통로는 시민군이 보초를 섰던 동선, 시민군 최후의 퇴로였다.

또 경찰청과 도청본관 사이에 설치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방문자 센터도 철거한다. 방문자 센터는 1980년 당시 시민군 시신을 수습한 역사적 장소다.

대책위 복원계획안에는 전남경찰청의 본관 경관을 가리는 LED 펜스를 철거하고 상무관 입구와 민주광장을 평지화하는 방안도 담겨있다.

건물을 원형복원 한 이후에는 5·18 당시 시민군의 주요 활동 거점이었던 방송실, 상황실, 대변인실, 회의공간, 식사장소, 무기고, 희생자 수습장소 등을 스토리텔링으로 재현한다.

5월21일 시민군의 도청 탈환, 27일 최후 항쟁 등 5·18의 의미 있는 장소와 과정은 특화할 계획이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의 콘텐츠 설치를 위해 이미 100% 훼손된 경찰청 본관과 민원실을 원형 복원하면서 불가피한 콘텐츠 이전 문제는 문화전당의 문화창조원 복합관, 전일빌딩 활용과 상무관 뒤에 건물을 신축하는 3가지 방안을 정부에 제시했다.

◆어떻게 추진됐나

5·18월 단체와 오월어머니들은 지난해 9월7일부터 옛 전남도청 보존을 위한 천막농성에 돌입해 300여일 넘게 농성을 이어오고 있다.

이로 인해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5개원 중 옛 전남도청을 리모델링해 만든 민주평화교류원은 2015년 11월25일 전당 개관 이후 1년9개월 가량 문을 열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9월말에는 광주지역 49개 기관 단체로 구성된 ‘옛 전남도청 복원을 위한 범시도민대책위원회’가 발족해 원형복원을 위한 공식활동에 들어갔다.

대책위가 옛 전남도청 복원을 추진한 배경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을 조성하면서 옛 전남도청의 원형이 심하게 훼손돼 5·18 민주화운동 최후의 항쟁지로서의 흔적이 사라지고 있다는 이유를 들고 있다.

옛 전남도청은 5·18민주화운동의 최후 항쟁지이자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의 성지로서 후손들에게 원형대로 물려주어야 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대책위는 지난 4월 위원장단회의를 통해 옛 전남도청 원형복원을 의결했다.

지난 제37주년 5·18민주화운동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협력을 약속하면서 도청복원 문제는 급물살을 탔다.

이후 광주시는 곧바로 옛 전남도청 복원을 위한 지원팀을 구성하고 시민공청회를 통해 의견 수렴에 나섰다.

지난 6월에는 보존자료조사 및 수집 TF를 구성해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지난달 26일 도종환 장관과 면담을 통해 건의서를 전달했다.

◆해결해야 할 과제는

도 장관의 적극적인 의지로 옛 전남도청 복원사업이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그러나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우선 가장 시급한 것은 300억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관련 복원 사업비 마련이다.

도 장관도 이날 면담 과정에서 “당장 내년에 마련해야 할 예산과 몇 년에 나눠 세울 예산을 구분해 계획을 추진하겠다”며 “대책위가 그간 요구해왔던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해달라”고 당부했다.

복원대상이 될 민주평화교류원을 짓기 위해 들어갔던 260억원의 예산이 증발하게 되는 것도 향후 논란거리다.

막대한 예산을 낭비한 사례로 지적돼 향후 문화전당 관련 예산을 확보에 차질이 빚어지는 등 아시아문화전당 활성화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기다 2008년 6월, 문화전당 착공 직후 5월 단체 등의 반발로 공사가 중단되는 등 지역사회 갈등으로 결국 당초 계획보다 개관이 5년 늦어지는 등 10년여의 세월을 허비했다는 지적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아시아문화전당활성화를 위한 공동기획단이 29일 옛 전남도청회의실(국립아시아무화전당 민주평화교류원)에서 ‘문화전당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는 것도 바로 이런 연유 때문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옛 전남도청 복원 문제와 함께 아시아문화전당 활성화를 위해서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대우기자 ksh430@daum.net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