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칼럼> 토요타시스템과 '코로나19'

입력 2020.02.13. 03:05 수정 2020.02.13. 19:30 댓글 0개
선정태의 무등칼럼 무등일보 취재2본부
선정태 경제부 차장

100만 원도 하지 않는 부품이 우리나라 자동차 시장을 멈추게 했다. 중국에서 발병한 '코로나19'로 인해 중국 내 국내 완성차 하청업체 공장들이 문을 닫으면서 '와이어링 하네스' 수급에 큰 차질을 빚는, 초유의 '셧다운 사태'로 이어진 것이다.

이름도 낯선 '와이어링 하네스'라는 부품은 차 내부에 장착된 전기장치들에 각종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장치로 인체의 신경망과 같은 부품이다. 차 곳곳에 위치한 전자 부품들을 연결하는 부품으로, 차체에 가장 먼저 설치돼야 한다. 중국에 세워진 공장들이 2주 이상 가동을 하지 못하면서 자동차를 조립할 수 없게 된 것이다.

대부분 노조원의 파업으로 인해 공장이 멈춘 일은 많지만, 부품이 없어 차를 만들지 못하는 사례는 처음이다.

이런 일이 발생한 것은 국내 완성차 회사들이 재고를 많이 두지 않고 차량을 조립할 때 공급해 주는 '도요타 방식'때문이다. TPS(Toyota Production Sytem)라고도 불리는 '도요타 방식'은 미국 포드사의 '컨테이너 생산방식'에서 벗어나 일본의 자동차회사 도요타가 만들어낸 시스템이다.

'도요타 방식'은 필요한 부품을 필요한 때, 필요한 만큼만 만들어 재고를 남기지 않는 저스트 인 타임(Just In Time) 즉 '무재고 방식'이다. 제조 라인의 상황에 맞춰 재료를 공급하면, 재고 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는 이상적이고 혁신적인 상품관리 방식이다. 이 덕분에 도입 당시 일본에서 1인당 부가가치 1천800만엔, 재고일수 3일, 생산리드타임 10시간이라는 이정표를 세웠다.

그러나 이 방법을 구상해 낸 도요타는 2011년 대량 리콜에 지진이라는 천재지변까지 겹쳐 부품을 조달하지 못해 몇 달 만에 1조 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했다.

'코로나19'로 부품을 수급하지 못한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상황은 도요타의 위기 그대로 재현됐다. '코로나19'로 인해 자동차 회사들이 국내 공장을 '셧다운'한 기간은 일주일 정도였다. 중국 춘절 휴가까지 고려하면 이주일 분량의 재고조차 남겨두지 않는 극단적인 조립 시스템이 부른 사태라고 봐야 할 것이다.

물론, 이런 사태가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는 일정량 이상의 재고를 놔두거나 부품 공장을 여러 나라에 두는 것이지만, 두 방식 모두 불가능에 가깝다.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중국은 공장을 지을 수 있는 최고의 나라다. 가장 가까운 데다 값싼 임금으로 활용할 수 있는 노동자들도 많다. 단순 노동에 가까운 '와이어링 하네스' 생산은 인건비가 싼 나라에 공장을 세우는 게 회사 입장에서는 합리적이다. 중국은 자동차회사들이 '도요타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최고의 입지인 것이다.

원가 절감을 통한 수익 증대를 위해 공장의 80%를 중국에 둘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고, 이번 '셧다운'의 원인이기도 하다.

2002년 '사스'와 2019년 '코로나19' 등 중국에서 시작된 전염병이 우리 경제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값 싼 노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고, 더 가까워 물류비용을 아낄 수 있는 곳을 찾아보면 어떨까. 개성공단 같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