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옛 광주교도소 발굴 시작···5·18 행불자 찾는다

입력 2020.01.28. 07:00 댓글 0개
경비교육대 뒤편서 닷새간 문화재 출토 방식
[광주=뉴시스] 신대희 기자 =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위원들이 3일 오후 광주 북구 옛 광주교도소에서 신원 미상 유골 발굴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2020.01.03.sdhdream@newsis.com

[광주=뉴시스] 신대희 기자 = 옛 광주교도소 부지 내 5·18민주화운동 행방불명자들의 유해를 찾기 위한 발굴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5·18기념재단은 28일 오전 10시부터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 수형자 공동묘지 주변에서 발굴 조사를 한다.

지난달 19일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자 묘지에서 신원 미상 유골 수십 구가 발견된 만큼, 다른 유골이 묻혀있는지 확인해보겠다는 취지다.

발굴 장소는 옛 광주교도소 경비교육대 건물 뒤편 2888㎡ 부지다.

대한문화재연구원이 2월1일까지 닷새간 문화재 출토 방식으로 진행한다.

시굴 조사에서 특이점이 나오면 굴착기 등으로 지표면을 걷어낸다. 유해 흔적이 발견될 경우 광주지검의 지휘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기념재단과 대한문화재연구원은 2017년 11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옛 광주교도소, 광주∼화순 간 너릿재터널 인근 도로, 옛 전투병과교육사령부 주둔 부지 주변 광주천변 등을 조사했지만 유해를 찾지 못했다.

최근 유골 수십 구가 발견된 교도소 공동묘지 터는 5·18행불자의 주요 암매장지로 꼽힌다.

광주지검 작성 '광주교도소 동향'에는 '1980년 5월21일 시신 6구가 교도소 공동묘지 주변에 임시 매장됐다'고 기록돼 있다. 1980년 5월24일 검시 지시 내용(지검→교도소, 전언통신문)도 담겨 있다.

5·18 직후 교도소 내 관사 뒤에서는 시신 8구, 교도소 앞 야산에서는 시신 3구가 암매장 상태로 발견됐다.

계엄사령부가 발표한 1980년 5월31일 '광주사태 진상 조사' 문건에는 교도소에서 민간인 27명(보안대 자료 28명)이 숨졌다고 기록돼 있다. 단순 계산으로도 16~17명의 신원과 행방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광주시는 이번 발굴 조사를 계기로 5·18행불자 가족(부모, 형제·자매, 자녀, 모계 가족)의 유전자를 추가 확보키로 했다.

혈액 채취 신청을 받아 향후 유골 발견 시 DNA 대조 작업을 벌일 방침이다. 현재 전남대 법의학교실에는 행불자 154가족 334명의 혈액이 보관돼 있다.

한편 1980년 이래 5·18행불자 신고는 448건(중복 건수 포함)에 달하지만, 심사를 거쳐 관련자로 인정된 이는 84명에 그친다.

84명 가운데 유전자 감식을 통해 신원이 밝혀진 희생자는 6명뿐이다. 행불자로 인정된 78명의 주검은 어디에 있는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sdhdream@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관련키워드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