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창원 차부품업체 10곳 중 6곳 "향후 자동차산업 성장 둔화"

입력 2019.12.16. 16:18 댓글 0개
유동성 부족·친환경차 기술 미확보로
창원상의, 95개사 실태조사 결과 발표
【창원=뉴시스】경남 창원국가산업단지 전경.2019.10.05.(사진=뉴시스 자료사진)

[창원=뉴시스] 홍정명 기자 = 경남 창원지역 자동차부품업체 10곳 중 6곳 이상이 향후 자동차산업 성장 둔화를 전망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원상공회의소(회장 한철수)는 창원지역 자동차부품업체 95개사를 대상으로 지난 11월 14~29일 ‘창원지역 자동차부품 기업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응답 업체의 65.7%가 향후 창원 자동차산업이 성장 둔화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고 16일 밝혔다.

'현 수준 유지' 응답은 20.0%, '소폭 성장'은 12.6%로 나타났다.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기존 제품의 신규 수주 감소 우려'(43.8%), '완성차업체의 경쟁력 부족'(22.5%) 순으로 꼽았다.

긍정적인 전망 이유로는 '친환경 자동차 기술 확보로 경쟁력 유지'(52.8%), '장기적인 미래 먹거리 확보'(11.3%) 순으로 응답했다.

또 매출 및 영업이익 등 경영 성과에 미치는 중요 요인(7점 만점 기준)으로는 '납품가격 수준'이 5.80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자금 유동성' 5.65점, '완성차업체의 국내 생산량' 5.64점, '근로자 임금 수준' 5.48점, '기술수준(R&D)' 5.36점, '소재·부품의 조달가격' 5.32점, '완성차업체의 해외 생산량' 4.82점 등 순으로 평가했다.

중요 요인을 바탕으로 한 실제 체감도 평가 지표에서는 ‘기술(R&D)수준’이 4.44점으로 가장 높았고, ‘완성차업체의 국내 생산량’ 3.76점, ‘완성차업체의 해외 생산량’ 3.68점, ‘소재·부품 조달가격’ 3.56점, ‘자금 유동성’ 3.52점, ‘납품가격 수준’ 3.37점, ‘근로자 임금 수준’ 3.19점 순으로 평가했다.

자동차산업 트렌드 변화가 향후 귀사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응답업체의 51.6%가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긍정적'이라는 답변은 33.7%를 기록했다.

현재 친환경 자동차 관련 제품을 개발 또는 생산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 업체의 39.0%가 '생산 또는 개발 중'이라고 답했으며, 43.2%는 ‘현재는 없으나 의지는 있다’고 답했다. 다수의 자동차부품 응답 업체가 친환경 자동차 관련 제품 생산 필요성에는 공감하는 것으로 드러난 셈이다.

실제로 연구기관이나 대학, 타 기업에서 친환경 자동차 분야 진출을 위한 공동연구 제안이 올 경우, ‘비용 여력은 없지만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51.6%에 달했다. 이어 ‘원청업체가 제안할 경우에만 참여하겠다’ 26.9%, ‘공동 연구개발이 필요치 않다’ 10.8%, ‘적극 참여 후 비용과 인력도 부담하겠다’ 3.2% 순으로 답변했다.

그리고, 기술 개발 및 생산이 이뤄진 업체들은 ‘자체 개발’(45.5%), ‘원청업체의 기술 지원’(30.3%)을 통해 성과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 자동차 분야 기술개발을 위해 선결되어야 할 정부·지자체의 중요한 과제로는 ‘기술성과 보호조치’(7점 만점 기준 5.46점)를 가장 높게 꼽았다.

이어 ‘산업전략 및 방향성 제시’(5.40점), ‘자금 유동성 지원’(5.35점), ‘연구장비 및 인력 지원’(5.34점), ‘기술지도 및 정보 제공’(5.30점), ‘제품 기능 및 성능인증 지원’(5.24점), ‘대·중소 기업 공동연구 지원’(5.17점) 등의 순이었다.

기술개발에 필요한 자금과 장비, 인력 지원에 앞서 ‘기술성과 보호조치’를 가장 중요하게 꼽은 이유는 기술개발 이후에 그 성과를 중소기업이 오롯이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실질적인 사회적 안전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뜻으로 보인다고 창원상의는 풀이했다.

창원상의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 많은 기업에서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현시점에서 자금 유동성 악화에 대한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친환경 자동차 분야 기술개발 및 투자 유인책으로 정부 지원책의 방향성 제시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성과 보호를 위한 사회적 장치 마련이 선결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hjm@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