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칼럼> 김장

입력 2019.12.10. 18:34 수정 2019.12.10. 20:41 댓글 0개

초겨울 한파 기세가 매섭다. 이맘 때면 반드시 치러야 할 연례 행사가 있다. 김장이다. 예전같진 않지만 여전히 김장은 한해를 마무리하는 중요한 통과의례 중 하나다. 하기 전엔 걱정이지만 끝내고 나면 든든하다. 겨울을 버티게 하는 힘이고 이듬해 먹거리 걱정까지 덜 수 있으니, 김장이야 말로 한해 농사다.

김장 풍습이 언제부터 시작됐는지는 정확치 않다. 다만, 기록으로 볼 때 고려시대에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고려시대 후기 문신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에 '무를 소금에 절여 구동지에 대비한다'는 구절이 나온다. 고려시대 왕실의 미곡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됐던 창고이자 관청인 요물고(料物庫)도 그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조선시대 전국적으로 널리 퍼진 김장풍습은 조선 헌종때 정학유가 지은 가사 '농가월령가' 중 '10월령'에서 잘 엿볼 수 있다. "시월은 맹동(孟冬)이라 입동(立冬) 소설(小雪) 절기로다/나뭇닢 떨어지고 고니 소리 높이 난다/듣거라 아이들아 농공을 필(畢)하도다/남은일 생각하여 집안 일 마저 하세/무우 배추 캐어 들여 김장을 하오리라/앞 냇물에 정히 씻어 염담(鹽淡)을 맞게 하소/고추 마늘 생강 파에 젓국지 장아찌라/독 곁에 중두리요 바탕이 항아리라/양지에 가가 짓고 짚에 싸 깊이 묻고/바기무우 알암 말도 얼잖게 간수 하소"

김장이 한해 중요한 행사였던 만큼 김장을 소재로 한 속담들도 널리 쓰였다. '김장은 겨울의 반 양식'이라고 했다. '김장 배추가 물러지면 집안일이 꼬인다'는 말도 있다. 잘못 간수했다는 소리니, 집안일이 제대로 될 리가 없다. '김장은 손끝을 불어가면서 담가야 한다'라는 말도 있다.

아쉬운 건 점차 김장담그기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김장을 직접 담근다'고 답한 사람은 63%였다. 10가구 중 6가구 꼴이다. '2030 김포족(김장 포기하는 사람들)'이란 신조어도 심심찮게 등장한다. 격세지감이다. 머잖아 '김장은 겨울의 반 양식'이란 말도 바뀌어야 할지 모를 일이다.

그래도 아직까지 주위엔 김장 김치가 겨울을 버틸 소중한 양식인 이들이 많다. 이맘 때면 들려오는 사랑의 김장 나누기가 따뜻하고 정겨운 이유다.

윤승한 사회부장 shyoon@srb.co.kr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