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칼럼> 수험생 문화생활과 공정(Equity)

입력 2019.11.18. 18:36 수정 2019.11.18. 18:37 댓글 0개
조덕진의 무등칼럼 무등일보 주필

'인간의 뇌는 태어날 때 별반 차이가 없다. 자라면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뇌의 활성화가 달라진다'

고려대 김승석 교수가 자신의 한 저서에서 소개했던 외국 연구 논문 내용이 칼날처럼 기억을 파고든다.

살벌한 이야기다.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하늘로부터 평등한 권리를 부여받아야하지만, 태어나는 순간부터 계급이 결정되는 시대다. 단순한 기회의 접근권 문제가 아니다. 소위 '능력'이라고 이해되는 뇌의 용량까지 부모의 여건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잔인한 현실이다.

이 잔인함이 수능 이후 수험생들에게 또 다른 방식으로 재현된다.

수능이 끝난 수험생들은 봉인이 해제된 판도라 상자나 다름없다. 전력질주했던 수능 시간표가 일시에 해제되면서 급작스레 던져진, 넘치는 시간에 자칫 갈 길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이 즈음에, 판도라 상자를 어떻게 다루느냐가 이들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는 점에서 가벼이 넘길 수 없는 시간들이다.

슬픈 것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여건이 또 다시 아이들의 수능 후 여건도 조정한다는 점이다. 어떤 아이들은 해외여행을 비롯해 국내외에서의 다양한 문화적 체험과 향유로 넘치는 시간들을 나눌 것이다. 다른 한편 건너편 아이들은 문화향유는커녕 생계에 내몰려 당장 아르바이트를 전전해야하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더 불행한 일은 이같은 문화예술 활동이 단순한 취향의 문제로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깊이 있고 풍부한 문화·예술적 자양분을 습득한 아이들의 심리적 여유와 깊이가 생계에 내몰린 아이들과 보이지 않는 또 다른 격차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취향이라고 하는 것이 기실 종래에는 문화적 계급을 상징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가벼이 넘기기 어려운 문제다.

이 지역 수험생들의 수능 후 시간은 어떨까.

궁금함보다 먼저 가슴 한편이 아려온다.

수능 직후 문화체육관광부가 수험생을 위한 전국 문화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예술의 도시 광주의 수험생을 위한 프로그램이 궁금했다. 시민문화예술 서비스를 수행하는 광주문화재단과 광주문예회관을 살펴봤다. 놀랍게도 수험생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은 없었다.

이 도시에서 문화복지는 언감생심인가.

무책임하기는 시·도 교육청도 마찬가지다. 교육을 책임지는 당사자라는 점에서 죄책이 더 무겁다 하겠다. 문체부가 공모하는 정부지원 문화프로그램에 광주·전남 지역 고등학교 참여는 터무니 없이 적다. 일선학교 현장의 문제 인지, 시·도 교육청의 관심 부족인지 살펴봐야할 대목이다. 광주 시·도교육청의 문화복지 지수가 수준 이하이거니와 내면의 경쟁력에 대한 고려가 없다는 반증이다. 관심이 없거나 철학이 부재하거나 둘 중 하나인 것이다. 성적, 소위 상위권 대학 진입 등 실적에만 급급하고 아이들의 미래 투자에는 나몰라라 한 것 아니냐는 비난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렵다.

민주·인권·평화의 도시라는 이름이 부끄럽다.

이쯤되면 민주·인권·평화라는, 이 도시가 지켜온 소중한 가치는 얼어죽을 처지다.

적어도 광주에서라면 공적영역에서 다양한 인문적 문화향유를 할 수 있는 틀이 마련돼야하지 않을까. 하여 이 도시에서라면 부모 여건에 관계없이 누구라도 문화·예술적 세례를 받으며 마음의 풍족함을 채울 수 있어야하지 않을까 싶다. 그럴 때라야 예술의 도시, 민주 인권의 도시라 말할 수 있을 것이고 일상에서 묻어나는 도시 정체성이야말로 진정한 도시경쟁력의 면면일 것이다.

아트플러스 편집장 겸 문화체육부국장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