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르포]국내 최대 수상태양광 발전소 청풍호 가보니···"반사광 없었다"

입력 2019.08.24. 06:23 댓글 0개
4000명이 연간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전기량 생산 가능
태양광 발전은 빛을 흡수해 전기 생산 "반사광은 오해"
세계 1% 저수지 활용시 500조원 이상의 시장 잠재력

【제천=뉴시스】김지은 기자 = 잔잔한 물결이 일렁이는 청주 댐 청풍호에 가로 1m·세로 2m 크기의 태양광 모듈 8640개가 떠 있다. 국내 최대 규모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의 단면이다.

한화큐셀과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 22일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북노리에 위치한 '한국수자원공사 청풍호 수상태양광 발전소'에서 국내외 태양광 산업의 흐름과 수상태양광 현황을 소개했다.

수상태양광은 육상 태양광기술과 부유식 구조물 기술을 융합한 것으로 물에 뜨는 구조물 위에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한다. 유휴부지인 수면을 이용해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육상태양광보다 그림자 영향이 적고 모듈의 냉각효과가 있어 발전 효율이 10% 이상 높게 나오는 장점이 있다.

이날 방문한 청풍호 발전소는 2017년 12월 준공한 국내 최대 내륙 수상태양광발전소로 설비용량은 3MW(메가와트)다. 약 4000명이 연간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전기량을 생산할 수 있다.

월악선착장에서 5분 동안 배를 타고 들어가자 3곳의 태양광 발전단지가 나란히 모여 있었다. 예상했던 눈이 부실 정도의 반사광은 없었다. 이날 날씨가 흐린 덕이 아니었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 빛을 흡수해 전기를 생산해 내는 것으로 최대한 많은 빛을 흡수하는 것이 관건이다.

한화큐셀 관계자는 "태양광 연구개발은 빛을 더 흡수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반사광에 대한 오해는 태양광 발전의 기본 원리와는 전혀 맞지 않다"고 했다.

실제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서 측정한 반사율에 따르면 태양광 모듈의 반사율은 5% 수준으로 플라스틱 10%, 흰색페인트 70%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풍호 발전소는 지역민 생활 여건을 개선한 모범사례로도 알려져 있다. 발전소 건설 시 인근 어업민의 숙원 사업인 수산물 집하장(판매장)을 건립했고 접근이 어려운 마을 진입로(상노리~황강리 3.2㎞)를 포장했다. 또 에너지 공급이 어려운 인근 에너지 소외지역인 황강, 한천리 7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사를 진행했다.

수상태양광은 육상태양광, 건물태양광에 이어 태양광 발전의 3대 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은행이 올해 초 발간한 수상태양광 리포트에 따르면, 세계 저수지 수면 기준으로 1%의 면적에 수상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할 수 있는 설비 용량이 404GW(기가와트)에 달한다. 설비 용량 기준으로 석탄화력발전소 404기(1GW급 발전소 기준)를 대체할 수 있는 셈이다.

연간 발전량 기준으로는 약 521TWh(테라와트아워)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지난해 유럽 전체 전기 사용량인 3441TWh의 15%에 해당하는 막대한 양이며 세계 6위 전기 사용국인 우리나라의 2018년 연간 전기사용량인 565TWh에도 육박한다.

우리나라에도 적합한 발전 방식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육상 태양광보다 높은 발전량을 얻을 수 있어서다. 한국에너지공단 조사 결과 농업기반시설인 저수지(만수면적 10%), 담수호(만수면적 20%), 용배수로(5m이상 배수로의 2%)만 활용해도 약 6GW의 잠재력이 있다고 한다.

육상태양광 설치 기준이 강화되고 있는 있는 점도 수상태양광이 대안으로 부상하는 이유다. 현재 우리나라의 약 90여개 지자체는 태양광 발전소 설립을 위해서 도로(농로 포함)나 주거지역으로부터 100~1000m 이격거리 제한을 두고 있다. 또 작년 12월 4일부터 산림자원 훼손 문제로 인해 임야 태양광의 설치기준을 대폭 강화했고 사용기간이 끝나면 복구 의무와 대체 산림자원조성비도 신규 부과하고 있다.

한화큐셀 한국·동남아 사업부 유재열 상무는 "세계 저수지 수면의 1%에 수상태양광 발전소가 단계적으로 건설된다면 현재 건설 단가 기준으로 향후 500조원 이상의 세계 시장이 열리게 된다"며 "국내에서 우리 기업들이 충분히 경험을 쌓는다면 수상태양광은 한국 기업들의 신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전자부품연구원 정재성 박사는 "수상태양광 발전은 일본이 처음 시작했지만 현재는 우리나라 수상태양광이 세계적 수준에 도달했다"며 "현장에서 7년 이상 구축한 경험이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시장 선점을 위한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kje1321@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