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칼럼> 백일홍은 바람으로 붉다

입력 2019.08.19. 16:53 수정 2019.08.19. 17:04 댓글 0개
김현주 교단칼럼 광주인성고 교사

백일홍이 붉다. 백일홍을 부르는 이름은 여러 가지다. 배롱나무, 나무 밑둥 어디쯤 간지럼을 태우면 가지 끝이 떤다하여 간지박(간지럼) 나무, 백일홍은 백일 동안 붉다 하여 백일홍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런데 백일홍은 한 꽃이 피어 백일을 가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붉은 꽃무더기가 세 차례 피었다 지기를 반복하며 백일을 간다는 것이다. 그 백일엔 무수한 시작과 끝이 서로를 붙들고 있다. 그것은 어찌보면 잘 조직된 카드섹션이거나 군무 같기도 하다.

그렇게 함께 다리 묶고 이어달리기를 하듯 피었다 지며 백일홍은 오늘도 붉다. 그러다 마지막 무더기가 질 때면 벼를 수확하는 시기가 왔기에 배고픈 시절 붉게 지는 꽃을 보며 흰 쌀밥을 떠올렸다고 하여 쌀밥 나무라고도 했다 한다. 백일홍은 나무에 주목한 이름이지만 쌀밥 나무는 삶에 주목한 이름이다. 삶은 순간 순간 기원들로 이어진다.

그렇게 백일은 기원의 숫자다. 태어난 아이의 백일이야 더 말할 것도 없으며, 단군신화 속에서 마늘과 쑥을 먹으면서 인간이 되기 위해 견뎌야 하는 시간도 백일이었다. 그래서인지 우리 부모님들은 이루고 싶은 바람이 있으면 백일 기도에 들어 가셨다. 대입 수능 백일이 지났다. 저마다의 바람과 간절함으로 백일은 가고 있다.

어느 해였던가? 8-9년 전쯤이었다. 1정 연수 때 인연이 되어서 연락을 주고 받던 선생님으로부터 문자가 왔다. 'OO고등학교는 어떤 학교입니까?' 그래서 학생들 열심히 지도하고 대학도 잘 보내는 학교로 알고 있다고 하였다.

어떤 학교를 평가한다는 것은 조심스럽고 들려오는 이야기로만 판단하는 것은 자칫 편견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무난하고 적당한 대답을 찾아 답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후 그 선생님은 긴 메일을 보내왔다.

자신이 겪은 일이라며.

OO고등학교에 다니다가 서울로 전학을 온 그 학생이 한 달 쯤 지나자 담임인 자신을 찾아 왔다고 메일은 시작되었다. 그 학생은 담임을 찾아 와서 왜 자신을 특별 관리 해주지 않는지 물었고, 이유를 묻자 그 학생은 광주에서 학교를 다닐 때는 그랬다고 대답했다는 것이다.

오래전에 받은 메일이 이번 사건으로 인해 떠오르지 않을 수 없었다. 시작은 시험 문제 하나로 시작되었지만 일은 생각보다 컸다. 그 학교에서 벌어진 사건으로 많은 교사들이 징계를 받게 되었다.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느낌이나 생각들을 물어 보니, 기사를 통해 사건을 접한 학생들은 그 학교 대다수의 많은 학생들이 그 동안 입은 피해를 생각하면 안타깝다고 하고, 수시의 비중이 큰 대학 입시 제도가 일으킨 사건이라고도 한다.

또 누군가는 그 학교 학생들이 대학을 갈 때 불이익이 있으면 어쩌나 하는 걱정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속절없이 이 시간 속에서 상처 받고 있을 그 많은 학생들은 어떤 마음일까? 누구에 의해서 벌어진 일이든 이 시대 같은 교사로서 미안하고 부끄럽다.

우리 교육의 슬픈 자화상이라는 말로 학생들의 상처를 적당히 위로하며 넘어가서는 안 된다. 과정의 공정함과 정의로움을 다시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여전히 어느 대학 몇 명으로 발표되는 입시 결과로 모든 교육의 성과가 수렴되는 것은 과정을 무시하게 한다.

우린 모두 잘 알고 있다. 그러면서도 현실은 어쩔 수 없는 것이고 그 안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런 사건이 터지면 과연 우린 교육 현장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싶어지면서도 본질을 놓친 채 또 이로 인하여 앞으로 교육 현장에 다가올 실무적인 일의 부담감을 먼저 계산해서는 안 될 것이다.

어찌보면 교육은 과정이 전부다. 과정으로 배우고 과정으로 성장하고 그렇게 무수한 과정이 피었다 지고 이어지면서 무럭무럭 성장하는 교육의 백일홍을 그린다.

지금 학교는 대입 수시 입학 전형을 앞두고 학생 생기부를 점검하고 여러 기록 사항들을 정리하고 있다. 그리고 많은 담임 교사들이 학생 상담으로 깊은 밤을 학생들과 함께하고 있다. 그래도 학생들의 성장에 주목하고자 애쓰고 정성을 쏟는 교사들이 있어서 이번 사건에서 느끼는 자괴감과 박탈감이 위로 받는다. 우리의 선택이 우리라고 생각한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