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칼럼> 2019 광주FINA세계수영선수권대회의 전과 후

입력 2019.07.07. 18:03 수정 2019.07.07. 18:03 댓글 0개
윤성석 아침시평 전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前 참여자치21 대표

예향의 도시 광주에서 12일부터 28일까지 제18회 세계수영선수권대회가 열린다. 올해 광주대회가 갖는 역사적 의미는 첫째, 193개 참여국과 2천800여명의 선수 숫자에서 역대 최고를 기록하고 있다. 둘째, 광주대회와 FINA는 쌍둥이처럼 닮았으며 대회 표어인 “평화의 물결속으로(Dive into Peace)”에 제대로 배어있다. FINA는 그간 다양한 대회와 행사를 통해 국가 간 갈등해소와 비군사적 협력체제 구축에 임하던 차에 올해 평화의 도시 광주로 온 것이다. 광주라는 아시아의 도시에서 펼쳐질 ‘스포츠를 통한 국제협력’을 통해 아시아와 국제사회는 비군사적 영역에서의 협력과 평화증진 무드에 흠뻑 빠질 것이다.

한편 세계수영선수권대회라는 엄청난 이벤트를 우리 도시에 유치한 전력은 단순한 운이 아니라 민관의 뼈를 가는 노력과 경쟁의 산물이리라! 세계화 시대는 도시의 시대이다. 도시의 국제화전략은 지역발전의 필수로서 각 지역은 영양가 있는 국제대회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국제스포츠행사 유치를 위한 각 도시들의 경쟁과 따라잡기는 대단히 치열하였던바, 국제유니버시아드대회와 아시안게임, 그리고 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가 대표적이다.

필자는 FINA대회라는 큰 국제스포츠 행사의 개최를 통해 그간의 광주시의 국제화 전략에 대한 학계와 사회의 의구심이 상당 부분 희석되었을 것으로 평가한다. 광주는 1980년대 이후 미술 비엔날레를 2년마다 개최하였으나 대형 국제스포츠 영역에서는 다른 도시에 비해 열세를 금치 못하고 있었다. 특히 국제화 사업이 단체장의 과시적 및 이벤트 사업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담당 부처의 전문성 부족도 자주 언급되었다. 그러나 올해의 FINA대회로 말미암아 과거의 부정적인 평가는 사라지고 대신에 긍정적인 평가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적으로 이미 광주형 산업모델로 유명세를 얻어가는 도중에 FINA대회를 성공적으로 마치게 된다면 도시의 신인도는 대폭 상승할 것이다.

그런데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국내외적 환경이 그리 녹록치 않아 걱정이다. 특히 국내적으로 현 정부에 대한 정치적 허니문이 끝나가는 와중에 FINA 대회가 열리기 때문에, 혹시나 여러 국내적 갈등이 대회에 쏠릴 대중의 관심을 흩뜨려 놓지나 않을지 주관부서는 걱정이 많을 것이다. 더구나 국제정세도 그리 양호하지는 않다. 그러나 호남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아젠다는 대회이후 호남이 떠안을 정치경제적 비용과 혜택이 아닐까?

수많은 스포츠 행사는 유치와 개최 그리고 사후 재정비의 3단계를 거친다. 작년의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는 한국의 IT능력을 만방에 과시하는데 성공하였으나, 올림픽 이후 제반 시설의 활용과 지역경제의 활성화에는 처참한 결과를 야기하였다. FINA대회 같은 대형 국제스포츠 행사는 대회이후에 외연적 효과가 서서히 드러나는 특성을 지닌 공공재이다. 이에 우리가 가장 신경 써야 될 가치는 16일 동안 세계인들의 눈과 귀가 쏠릴 광주FINA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십분 활용하여 광주라는 도시 이름을 널리 세계에 알리는 것이다. 광주가 알려지면 도시와 지역이 지닌 여러 가지에 대한 세계적 관심과 호기심은 자연히 따라오게 된다. 5·18, 문화와 먹거리 그리고 지역 특화산업에 대한 세계인의 호기심이 급속도로 높아갈 것이다. 따라서 대회기간에 우리 모두 열린 민족주의 태도를 견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임을 인지해야 된다. 과거 2002년 월드컵처럼 160여명의 한국 선수에게만 집중한다면 이는 폐쇄적인 국제관으로서 대회 후속효과가 빵점에 가깝다. 모든 참가 선수단에게 균등한 시선을 배분하여 대회개최지 광주를 매력도시로 인식하도록 세심한 운영을 다해야 한다.

결국 FINA대회로 인한 광주발전의 효과는 대외신인도의 고양이라는 단선적인 궤적을 통해 이후 장기간에 걸쳐 여러 형태로 재현될 것이다. 광주시청이 주도하는 미래전략은 행사시설의 활용, 지역산업과의 연계, 새로운 해외투자자의 유치와 도시간 글로벌 네트워크 등의 후속사업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하여 향후 한국의 도시국제화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공사례로 오래 동안 회자되기를 기대한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