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UN 안보리, 11일 北 핵·미사일 프로그램 논의" 로이터뉴시스
- 중진공, '2019 서울융합교류 플라자' 개최뉴시스
- 오래된 가게, 새 이름 찾았다 '이어가게'···노포는 일본말뉴시스
- KTL, 인도네시아 국가표준화기관 BSN과 기술협력 협약뉴시스
- 농심 '미니프레첼 쿠키앤크림맛' 출시 뉴시스
- 트럼프 "미국, 중국과의 무역합의 달성 관련 잘하고 있다"뉴시스
- 종근당고촌재단, 대한민국 주거복지문화대상 종합대상 수상뉴시스
- 재계 "김우중 회장 기업가 정신, 우리 사회에 오래도록 귀감이 될 것" 깊은 애도뉴시스
- 오신환 "與, 공수처 기소권 제한···한국, '연동형 비례' 수용해야" 뉴시스
- 프랑스, 연금개편 반대 총파업 계속···주요도시 교통체계 마비뉴시스
광주·전남 시민단체들이 광주천 정비사업과 관련해 자연성을 회복하고 인위적 간섭을 배제하며 생물다양성을 확보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을 촉구했다.
광주전남녹색연합 등 6개 환경단체는 18일 보도자료를 통해 “시가 추진할 광주천 정비 사업의 방향이 자연성 회복에 중점을 두고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시는 지난달 27일 2021년까지 총 370억원을 들여 광주천 환경정비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과 함께 수량 확보와 수질 개선, 생태 복원, 친수시설 확충 계획 등을 발표했다”며 “이 계획은 물을 펌프로 퍼올려 수량을 확보하고 둔치 안에 시설물을 설치하는 등 천변에 ‘인위적 간섭’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어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펌프로 물을 끌어 올려 수량을 유지, 확보하는 것은 장기적인 방안이 될 수 없다”면서 “도시의 지하수 수위를 높여야 하고 빗물을 활용한 물 순환 등 다양한 방법이 제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체들은 “광주천 양안 중 한 쪽과 하류 일부 구간은 시민 이용을 제한하고 생물 다양성 공간으로 시범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며 “시범 운영 과정에서 야생동·식물 등 모니터링을 벌여 이를 바탕으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영주기자 lyj2578@srb.co.kr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srb7@hanmail.net전화 062-510-115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사랑방미디어'
- 1GS '자이' 브랜드 3년째 1위···'힐스테이트' 2위..
- 2풍암유통단지 가는 도로 개설···10일 주민설명회..
- 3광주 신축-노후 아파트 가격 격차 커졌다..
- 4효천지구서 3개월째 '이물질 수돗물' 신고 잇따라..
- 5따뜻한 우리집~ 난방비 폭탄 피하는 방법!..
- 6무료로 즐길 수 있는 'KJ원더랜드' 올해도 개장..
- 741세 소득 정점 찍지만···59세부터 다시 '적자인생' ..
- 8"전학오면 무료로 집" 화순아산초, '선거법'에 덜컹..
- 9'조기점화 나주·화순' 김병원 회장 民입당, '3강 구도'..
- 10"부장님, 오늘은 시원한 한뚝배기 어떠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