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대한상의 "기업 미래준비 삼중고 심화…근본 대책 시급"

입력 2019.06.18. 06:00 댓글 0개
대한상의, 국내 제조사 500개사 대상 조사 실시
"샌드위치현상·4차산업 활용난·미래수익원 부재"
기업 84% "경제 양극화, 사회적 대립에 발전 정체"

【서울=뉴시스】고은결 기자 = 우리나라 기업들이 '샌드위치 현상 심화', '4차 산업혁명 신기술 활용 애로', '미래 수익원 부재'라는 3중고를 겪고 있어, 근본대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8일 국내 제조업체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우리 기업의 미래준비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대한상의 조사 결과,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기업과의 경쟁력 격차에 대해 '비슷한 수준'(35.9%)이거나 '오히려 뒤처진다'(5.4%)고 답한 기업은 41.3%에 달했다.

2010년 조사 당시의 응답률은 10.4%로 신흥국 추격에 위협감을 느끼는 기업이 10년 새 4배 늘어난 셈이다.

신흥국보다 앞선다는 응답도 '3년 이내'(31.6%)라는 응답이 '5년 이내'(18.5%)와 '5년 이상'(8.6%)을 합한 응답(27.1%)보다 많았다.

반면 선진국과의 격차에 대해 '뒤처진다'는 응답이 61.2%로 '비슷한 수준'(35.8%) 및 '앞서 있다'(3.0%)는 답변보다 많았다. 10년 전(41.3%)보다 20%p 늘어난 수준이다.

국내 주력산업의 경쟁력이 '경쟁국 대비 강화 추세'라고 응답한 기업은 21.5%로 '약화 추세'라는 응답(35.7%)에 못 미쳤다.

신산업 발전 정도에 대해서도 '경쟁국 대비 저조하다'(16.3%)는 답변이 '우위에 있다'(12%)는 의견을 앞질렀다.

기업들은 해외보다 열악한 국내 투자환경을 꼬집기도 했다. '국내와 해외의 투자환경이 별 차이 없다'(51.6%)는 의견이 과반수였지만, '해외가 낫다'(32.9%)는 답변이 '국내가 낫다'(15.5%)는 답변보다 2배 이상 많았다.

그 이유로는 '인건비 등 비용 낮음'(39.4%), '경제활력 높음'(32.7%), '기업활동에 인센티브 많음'(13.3%), '규제 강도 낮음'(11.5%) 순으로 꼽았다.

미래 수익원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활용도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응답기업의 절반 가량(48%)이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일부 활용'이 46%였으며, '적극 활용 중'이라는 응답은 6%에 불과했다.

기업의 4차 산업혁명 활용 지원을 위한 정부의 정책대응은 미흡한 것으로 평가됐다. '정책 분야별 대응의 충분성'을 묻는 질문에 '규제 완화’(62.9%), '인력 양성'(62.7%), 'R&D 지원'(59.4%), '벤처·창업 지원'(50.6%) 순으로 '잘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기업들은 미래 수익원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응답기업 3곳 중 2곳(66.9%)은 '미래 수익원이 될 수 있는 신사업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답했고, 이들 기업 중 상당수(62.0%)는 '대책도 마련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2010년 조사 당시 '미래 수익원 미확보'의 응답률은 28%였다. 신사업을 확보했다는 곳도 '성과 내는 단계'는 27.8%에 그쳤다. 나머지는 '추진 중인 단계'(72.2%)라고 답했다.

미래 수익원 발굴 과정에서 겪는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시장 형성 불투명'(41.0%)을 꼽았다. 이어 '자금 부족'(21.7%), '기술력 부족'(17.3%), '규제 장벽'(16.3%) 등을 차례로 답했다.

'현재 주력사업이 향후 얼마 동안 주요 수익원이 될지'를 묻는 질문에는 '10년 이상'(39.4%), '5~10년'(31.5%), '3~5년'(21.9%), '3년 이내'(5.0%), '이미 상실'(2.2%) 순으로 답했다. '5년 이내'의 응답 비중은 26.9%로, 전체기업 4곳 중 1곳이 '주력사업의 수명'이 단기간 내 끝날 것으로 예상했다.

'경제와 사회부문이 미래를 위해 선순환하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기업(83.6%)이 '경제 양극화와 사회적 대립이 서로 엉켜 양자 발전 모두 정체된 상태'라고 답했다.

'경제발전이 사회발전을 이끌며 선순환하고 있다'(9.0%)는 응답과 '사회발전이 경제발전을 이끌며 선순환하고 있다'(7.4%)는 응답은 소수에 그쳤다.

'선순환 관계 복원을 위한 과제'로는 '정부의 대안 마련과 리더십 발휘'(95.6%), '보수-진보의 소통'(94.9%),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의 기업격려'(94.2%)를 차례로 꼽았다.

ke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