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짧은 공화정의 역사가 5·18 망언 낳았다”

입력 2019.05.26. 18:52 수정 2019.05.26. 18:52 댓글 0개
5·18기념학술회의 토론회
공공선 내재화할 경험 부족
구시대적인 극우보수의 인식
가짜뉴스 추방·시민교육 절실

보우보수인사들의 유튜브 방송을 통해서, 심지어는 5·18민주화운동의 현장인 광주의 도심 집회에서 퍼붓는 참담한 왜곡과 폄훼는 왜 일어나는가. 그리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26일 열린 한국NGO학회 지역포럼 ‘5·18 기념 학술회의-5·18과 시민사회의 역할’에서는 5·18 왜곡이 근절되지 않는 이유, 그리고 시민사회가 실천해야 할 바를 공유하는 자리였다.

첫번째 세션은 5·18 역사 왜곡이 박멸돼야 할 이유 즉, 극복해야 하는 당위성이 설명되는 자리였다.

윤평중 한신대 철학과 교수는 ‘5월 광주의 정치철학, 공화의 나라’라는 발제를 통해 “지난 39년간 여섯 차례의 국가 공식 조사로 명백한 허위임이 판명된 5·18북한군 개입설을 사과하기는 커녕 5·18 유공자 명단을 밝히라며 역공을 펴는 목소리가 있다”며 “5·18 유공자가 공무원시험 가산점에서 특혜를 받아 일반 시민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루머도 탈진실을 악용한 호남 차별적 음모론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5·18 망언은 시민적 양심과 대한민국의 성취에 대한 심각한 모욕으로, 탈진실과 가짜뉴스에 맞서 사실을 존중하는 태도야말로 시민적 용기의 정수다”며 “그러나 여전히 21세기 대한민국은 이분법적 진영논리가 압도하고 있는 사회다. 민주공화국의 정체성에 대해 국민적 합의가 이르지 못한 것이다”고 분석했다.

윤 교수는 이 같은 5·18 폄하가 대한민국 공화정 역사가 짧고 시민 개개인이 공화주의의 덕목을 내재화할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나타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윤 교수는 “대한민국의 현실은 민주화와 산업화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사회 밑바닥에서는 갈등과 분열이 심해지고 있다. 압축성장과 압축민주화의 과정에서 한국인의 삶에서 공화정의 핵심인 공공의식과 공공선에 대한 존중심이 취약하다”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지만 공화정의 이념과 실천은 한국인의 삶에서는 낯선 개념이다. 이를 극복하고 5월 광주와 촛불의 에너지를 21세기적 공화의 나라로 승화하는 과업은 전적으로 우리 자신의 몫이다”고 강조했다.

하상복 목포대 정치학과 교수는 ‘5·18의 기억과 왜곡, 그리고 기념의 정치학’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이 5·18 기념의 인식 변화를 추구했으나 극단적 보수세력은 이 같은 기념행위를 부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 교수는 “문 대통령은 37주년 5·18기념식에서 5·18의 가치와 문 정부를 위치 지우면서 가족·이웃·평범·일상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거대 담론에 가려질지 모르는 개인들의 삶과 관계와 욕망의 결을 위로하려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편지 사연을 들은 뒤 했던 포옹은 민주화 유공자 가족과의 포옹일 수도 있지만 슬픈 가족사를 살아가는 한 개인에 대한 공감과 연민이었다. 이처럼 문 대통령의 기념행위는 이념을 넘어 5·18 희생자 개인의 구체적 삶을 바라보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한 셈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와 같은 전환의 가능성은 잉태되기도 전에 소멸해 버렸다. 자유한국당 의원 3인의 망언에서처럼 한국의 극우 보수는 5·18과 관련, 여전히 민주화 대 체제전복이라는 거대한 정치담론의 영역에만 머물러 있다”며 “5·18의 죽음들이 이데올로기가 아닌 개별적인 다양성의 기억을 찾기 위해서는 현재 한국 보수가 벌이고 있는 반동적인 움직임을 신속하고 역전 불가능한 방식으로 종결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번째 세션에서는 5·18 왜곡의 최전선인 가짜뉴스에 대응하는 방법과 시민사회와 연계한 민주주의 시민교육의 중요성이 논의됐다.

여기서는 5·18 가짜뉴스를 대체할 진짜뉴스를 유튜브에 유통해 진실을 알리고 정부와 광주시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미디어 전담기구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한 조선일보에 5·18 진실을 알리는 광고를 게재하는 등 5·18의 진실을 전국적으로 알리기 위해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김홍국 경기대 교수는 “헌법 개정을 통해 헌법 전문에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와 의미를 포함시켜야 한다”며 “헌법교육이 가장 근본적인 교육인 만큼 5·18민주화운동을 통해 실시하는 민주시민교육은 사회의 발전과 번영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서충섭기자 zorba85@srb.co.kr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