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칼럼>태어나지 않을권리

입력 2019.04.15. 18:14 수정 2019.04.15. 18:21 댓글 0개
조덕진의 무등칼럼 무등일보 주필

“부모님을 고소하고 싶어요”

“여기서 제가 얻는 게 뭐죠? 사슬과 호스 허리띠로 맞고, 듣는 말이라곤 ‘꺼져 개새끼’, ‘쌍놈의 새끼’ 뿐이에요. 사는 게 개똥같아요, 내 신발보다 더러워요”

영화 ‘가버나움(Capernaum)’의 주인공 자인이 세상에 묻는다.

출생신고도 안돼 있어 나이도 알 수 없는, 12살쯤으로 추정되는 베이루트의 시리아 난민소년 자인이 교도소 공중전화로 한 생방송 리얼리티 티비에 부모를 고소하며 던진 질문이다.

꽃 같은 아이의 입에서 나오는 아포칼립스, 심장이 먹먹하다.

자인의 부모는 ‘침대에서 잘 수 있고’ ‘더 나을 것 같아서’ 열 살 안팎의 자인의 여동생 사하르를 중년 남성과 강제 결혼시킨다. 어린 사하르가 출산과정에서 사망하자 자인은 남성을 공격했다.

“나를 태어나게 해서요”

왜 부모를 고소했느냐는 재판장의 물음에 대한 자인의 답이다. “더이상 아이를 낳지 않게 해달라”는 자인의 요청에 재판장이 “그만 낳을 것 같다”고 하자 “뱃속의 아이는 태어날 거 아니냐”고 잡아챈다.

“자라서 좋은 사람이 되고 싶었고, 존중받고 사랑받고 싶었다”는 자인은 “그러나 신은 그걸 바라지 않고 우리가 바닥에서 짓밟히길 바란다”며 “뱃속의 아이도 나처럼 될 것아니냐”고 반문한다.

올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에 빛나는 가버나움은 무슬림 여성감독 나딘 라바키의 베이루트 빈민가 아이들에 대한 4년여의 탐사보고서다. 자인을 비롯한 많은 등장인물들은 현지 난민인 비전문 배우들로 그들의 고통스런 삶을 담았다. 아동매매, 아동노동, 착취, 부패의 사슬이 극단화된 난민사회를 보여주면서도 값싼 동정을 유발하는 ‘빈곤 포르노’로 전락하지 않고 인간의 존엄과 사회의 의미를 묻는다.

우리로치면 초등학교 고학년 또래인 자인이 약물과 어른들의 거친 세계 속에서 생존해가는 모습은 ‘사랑받고 존중받을 권리’에 대한 절절한 질문을 던진다.

자인의 고소는 부모에 대한 원망의 문제가 아니다. 맑은 눈망울로 ‘태어날 아이도 나처럼 될 것’이라는 어린 소년의 절망은 생명의 존엄성에대해 묻는다..

지난 11일 헌법재판소가 낙태죄에 대해 헌법 불합치 판정을 내렸다. 내년말까지 관련 법을 개정하라는 권고다.

여기에 한가지 더해졌으면 싶다. 우리사회 자인 같은 아이들의 존엄성을 지켜줄 장치를 사회가 마련하라고.

낙태를 반대하는 이들은 뱃속 태아의 생명권을 강조하며 지금도 반대입장이다. 그런데 무방비로 세상에 던져진(태어난) 아이들의 존엄성은 어쩌자는 것인가. 존중받으며, 사랑받으며 살아갈 수 있는 방안도에 대해 우리사회는 고민이나 했던가.

낙태문제가 여성의 자기결정권이라는 도식화된 틀로 한정할 수 없는데는 이처럼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여러 사회요인들이 얽혀있기 때문이다.

우리사회의 방치되고 외면받는 수많은 아이들의 들리지 않는 비명과 신음소리를 외면하면서 생명권을 외치는 것은 위선이나 다름없다. 누구도 그 아이들의 고통을 대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아이들이, 누구라도 이 땅에서 오는 순간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존엄성을 존중받으며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우리사회가 만들때까지는 낙태의 전면적 허용이 주어져야 한다고 말하고 싶다. 어른들이 망쳐놓은 추악한 사회를 감당하기에 아이들의 눈망울은 너무 해맑다.

아트플러스 편집장 겸 문화체육부장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