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국제 행진축제’를 제안함

입력 2019.04.05. 14:52 수정 2019.04.05. 15:17 댓글 0개
김성 아침시평 지역활성화연구소장

외지인을 상대로 광주·전남 이미지 여론조사를 해보면 보통 5·18, 무등산, 맛의 고장(味鄕), 예향(藝鄕) 등이 상위권에 오르고 있다. 하지만 이 이미지에 맞게 외지인들이 직접 체험하고 기억하는 이벤트들이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다고 보기 어렵다.

식어버린 ‘5·18’의 열기

한 때는 있었다. 1997년 5·18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고 민주화가 완성되기 전까지는 매년 전국에서 수십만이 광주를 찾아 망월동 묘지(구 묘역)를 참배하고, 시위도 함께 했다. 살아남은 자의 부끄러움 때문에 당시에는 이것이 시대의식으로 작용했다. 5월 17일 전야제와 5월 18일 망월동을 출발하여 전남 도청앞까지 행진하여 온 뒤 갖는 추모제가 피크였다. 수많은 깃발이 나부끼고 수만명의 사람들이 금남로를 꽉 메워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불렀다. 그러나 국가기념일에 됐음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그런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게 됐다. 전야제와 추모제는 여전히 그 장소에서 열리는데 참여자는 1만명을 넘지 못해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무등산도 2013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그 해 탐방객이 4백만명에 이르렀지만 이제는 많이 줄었다. 예향과 미향 때문에 일부러 광주·전남을 방문하는 관광객은 아직 별로이다.

광주에서 횃불을 올렸던 역사적 사건은 학생독립운동과 5·18민중항쟁이다. 특히 5·18은 임진왜란과 조선 말에 전국에서 가장 활발히 전개되었던 호남의병의 척왜구국(斥倭救國)운동과 3·1운동, 11·3학생독립운동, 3·15, 4·19운동을 뿌리로 해서 일어났던 시민항쟁이자 우리나라 민주화를 견인했던 운동이다. 5·18이 남겨준 ‘광주정신’은 부당한 공권력에 대한 항거, 높은 도덕성과 공동체 의식, 민주주의에 대한 갈망이라고 할 수 있다. 어린 학생들이 일제의 무도한 진압을 뻔히 알면서도 맨 손으로 독립을 외치고 행진에 나섰던 용기나, 계엄군의 진입이 눈앞에 다가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막고자 나섰던 1980년 5월 26일의 ‘죽음의 행진’은 민주화의 혜택을 누리고 있는 오늘날의 우리가 영원히 계승해야 할 일이다. 기념일때마다 갖는 재연행사도 계승의 취지를 담고 있으나 내용이 빈약하고 규모가 작아 감동을 주지 못하고 있다.

이제는 기념행사도 달라져야 한다. 하여 필자는 광주·전남의 역사를 한데 담은 ‘국제 행진 축제’를 제안한다. 그 정신을 전승하고 세계에 알리기 위해서는 함께 참여하여 체험할 수 있는 내실있고 규모있는 행진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행진’의 사전적 의미가 다수의 사람들이 공동의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시도하는 공개적이고 집합적인 의사표현 행위이기 때문에 우리의 역사에 비추어 볼 때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대열의 주제를 각각 ‘분노의 행진’‘추도의 행진’‘화합의 행진’‘미래를 향한 행진’으로 각각 나눈다. 외국의 의미있는 행진 축제도 초청하고, 여전히 어려움에 처해있는 나라를 격려하는 ‘나눔’의 이벤트도 갖는 등 다양한 행진을 준비한다면 무한한 의미를 담아낼 수 있을 것이다.

민주화가 달성된 이후 우리는 미래의 방향을 설정하지 못하고 오히려 익명의 SNS소통, 가족의 불통, 혼밥(개인주의)이 범람하고 심지어는 5·18 가짜뉴스까지 활개를 쳐 ‘진실’을 왜곡하고 있다. 이 혼란의 시대에 ‘행진’에 대한 프로그램을 잘 짜서 국민이 함께 체험한다면 공동체 의식의 회복, 배려, 참여, 미래를 향한 비전 설정 등의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우리가 지난날 스스로 감동했던 월드컵 응원, 비폭력 촛불시위에 이어 지난 역사가 담고 있는 정신을 계승할 수도 있을 것이다.

‘행진’으로 역사 정신 회복을

국민은 의미있는 체험과 참여를 갈망하고 있다. 항상 시대의 선봉에 서왔던 광주가 국가의 미래 방향을 담은 이벤트를 마련하지 못한다면 누가 할 수 있겠는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