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정부 "격렬한 그룹운동, 홀덤펍, 유흥시설 집합금지 유지"뉴시스
- [속보] 정부 "다중이용시설에도 5인 이상 모임 금지 적용"뉴시스
- [속보] 정부 "유흥시설 제외 수도권 집합금지시설 모두 해제"뉴시스
- [속보] 정부 "수도권 종교시설 좌석 10%까지 대면 활동 허용···소모임 등 금지"뉴시스
- [속보] 정부 "5인 이상 모임금지도 2주 연장···숙박시설 등 예약 제한"뉴시스
- [속보] 정부 "신규 확진 400명 진입하면 거리두기 하향 여부 검토"뉴시스
- [속보] 정부 "감소폭 충분하지 않아···거리두기 2단계에도 미달"뉴시스
- [속보] 정부 "거리두기 수도권 2.5단계, 비수도권 2단계 2주 연장"뉴시스
- [속보]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서 84명 추가 확진···누적 3315명뉴시스
- [속보] 코로나19 사망자 19명 늘어 1236명···위중증환자 360명뉴시스
광주 기존 8개서 6개로 감소 전망
공직선거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지역 구간 경계조정이 서둘러 마무리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여야 4당이 합의한 선거법 개정안에 따르면 광주지역 국회의원 수는 현재 8명에서 6명으로 감소할 가능성이 큰 상황. 국회의원 수 감소는 지역 정치적 영향력 축소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이를 해소할 수 있는 구간 경계조정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1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자치구간 인구·경제력 불균형 해소를 위해 시가 추진중인 경계조정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지난해 11월 '광주시 균형발전을 위한 자치구간 경계조정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소, 중, 대폭 등 3가지 조정 개편 시안 중 최종대안을 선정할 계획이었던 시는 일부 주민 반발로 결론을 내지 못하고 지금까지 5개월째 제자리 걸음만 걷고 있다.
당장 경계 조정안이 도출되더라도 시·구의회, 행정안전부 등의 심의까지 6개월여가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올 상반기 내 경계조정은 사실상 불가한 실정이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지난 1월 자치구 순회로 동구를 방문한 자리에서 "자치구 간 경계조정은 정치권 합의가 필요하다"며 한발 물러서기도 했다.
문제는 여야4당이 합의한 선거법이 원안대로 국회를 통과하면 광주 국회의원 2석은 사라질 전망이다. 동구남구을과 서구을 등이다.
도시 규모가 대전보다도 국회의원 1명이 더 적게 돼 광주의 정치적 영향력 축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광주시가 정치권의 눈치만 보다가 시기를 놓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인위적인 인구나누기’라는 오해 때문에 일부 지역의 반발의 극심한 상황이다. 해당 자치구 간 합의를 통해 문제가 해결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통합뉴스룸=이삼섭수습기자 seobi@srb.co.kr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srb7@hanmail.net전화 062-510-115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사랑방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