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뉴스

금수저·은수저와 충분한 부모

입력 2016.01.13. 08:31 수정 2016.01.13. 08:37 댓글 0개
박병훈 교육칼럼 광주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소장

서울의 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이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는 글을 인터넷 커뮤니티에 남기고 생을 마감한 안타까운 일이 발생해 비탄의 마음을 억누를 수 없다. 필자의 아이도 그만한 나이이기 때문에 청년의 사연은 필자에게 더욱 절절하고 가슴 아리게 마음을 벤다.


아마 청년은 다양한 상황에 대해 자신이 어찌할 수 없는 현실에 고통과 좌절과 분노를 경험하였을 것이다.


심리학에서 이런 상황을 ‘학습된 무력감’이라 한다.


예를 들어 실험용 박스를 만들고 가운데에 장벽을 만든 뒤 한쪽에 개를 넣고 개가 있는 쪽에 전기 충격을 가한다고 생각해 보자.

 

개는 자신이 머무르는 곳에서 전기 충격을 피하기 위해 가운데 장벽을 뛰어넘어 반대쪽으로 피할 것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그 개가 피했던 쪽에 다시 전기 충격이 가해진다. 실험용 개는 다시 반대편으로 뛰어 넘어 그 전에 전기 충격이 가해졌던 쪽으로 다시 도망을 갈 것이다. 이런 절차를 몇 번 경험하면 그 개는 무력감을 학습하게 된다. 실험용 개에게 다시는 전기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개는 움직이지 않는다. 이미 무기력을 학습했기 때문이다.


이 청년도 그런 상태였을 것이다. 우리 청소년들이 겪는 우울증도 생물학적 측면에 원인이 있는 경우가 있으나 학습된 무력감에 의한 경우도 많다.


우리 자녀들이 생활하는 가정, 학교 등 수 많은 공간에서 이런 이들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한다. 자녀들의 생각과 의견을 들어보고 공감해주면서 아이들의 편이 되어 준 경험이 얼마나 되는지 자문해보자. 대개 우리 부모들의 의사소통방식은 거의 일방적인 지시와 명령인 경우가 많다.


극단적인 선택을 했던 그는 자신을 힘들게 만든 것은 사회이고 자신을 부끄럽게 만든 것은 자기 자신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에게도 행복한 경험이 있었다고 이야기한 것으로 보아 인생 자체가 엉망인 것 같지 않아 보인다.


막스 베버의 책 ‘직업으로서의 학문’이라는 책을 읽으면서 ‘학문의 목적은 정신적 귀족이라는 것을 알고 희열을 느꼈으나 우리 사회의 구조상 생존을 결정하는 것은 전전두엽 색깔이 아니라 수저의 색깔이라는 것에 좌절했다’고도 표현하고 있다.


그는 우리 사회의 합리성, 즉 논리의 연산인 합리를 추구하였으나 이 세상의 합리는 논리적 결과와는 거리가 먼 사회라고 느꼈었던 것이다.


요즈음 SNS에서는 자신의 꿈은 재벌 2세인데 아버지가 노력하지 않아 자신이 재벌 2세가 되지 못한다는 유머가 떠돌고 있다. 그만큼 경제적 불평등과 부의 양극화가 우리 사회에 만연하고 있다는 사실을 꼬집는 말일 것이다. 기회의 평등과는 거리가 먼 사회의 부조리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그러나 자신의 삶을 놓고 싶은 많은 역경과 난관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이기고 살아가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가?


필자가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하다 보면 칠십 혹은 팔십년 동안 살아오면서 번개나 천둥을 수백 번 아니 수천 번씩 맞아 보지 않은 분들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거나 일생 동안 일구어 온 사업체가 친구나 친지들의 배신으로 하루아침에 거덜 나는 경우도 보게 된다.


“그럴 때 어떻게 그것을 극복할 수 있었느냐?고 질문을 하면 가장 많은 답은 “자녀들과 가족이 있었기 때문이다”고 대답한다.


여기서 우리가 생각해야 될 것은 무엇인가? 우리가 자녀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것은 경쟁과 물질적 소유욕, 금수저나 은수저 혹은 흙수저로 계층화된 부의 세습이 아니라 고통과 좌절 속에서도 바람직한 삶의 태도와 자신을 일으켜 세울 줄 아는 힘을 스스로 기르게 하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인간이 최적의 발달을 이루기 위해서는 부모들과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 자녀들이 자신의 존재를 확인받지 못한다면 자기 소멸로 갈 수 있는 파괴적인 내적 힘이 작동한다.


멜라니 클라인의 이야기다. 우리의 삶은 창조적 힘과 파괴적 힘 간의 강력하고 신비로운 내적 투쟁이다. 궁극적으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부모들과의 상호작용 경험은 자녀들이 경험하는 세계에서 많은 영향을 미친다. 우리의 자녀들이 세계를 인식하는 틀에 영향을 끼치고 심리적 성장에도 영향을 끼친다.


부모들이 완벽할 필요는 없다. 사람은 완벽할 수도 없고 완벽한 기준도 없다. 완벽한 부모보다는 자녀들이 독립적으로 기능할 수 있고 건강한 대인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데 충분한 부모가 될 필요가 있다.


올 한 해에는 병든 부모가 건강한 자녀들을 병들게 하는 일이 없기를 소망한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