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으로 돌아가자

입력 2015.09.30. 08:07 댓글 0개
김성훈 교육칼럼 광주시 청소년활동진흥센터장

‘시대는 달라졌고, 과거 낡고 녹슨 교육체제로는 새로운 시대를 준비할 수가 없다.’


이 말은 올해 5·31 교육개혁 20주년을 맞아 공과를 짚어보는 토론회와 세미나가 열린 자리에서 나온 말이다.


5·31 교육개혁과제 중에 필자가 관심을 가져왔던 과제는 실천위주의 인성교육을 강화하겠다며 도입한 학생봉사활동 제도이다.


그로부터 20년이 지난 지금 학생봉사활동 의무화는 사회의 다양한 문제와 타인의 어려운 삶을 직접 대면하기 어려운 시기 청소년에게 실제적인 체험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하지만, 청소년봉사활동이 입시를 위한 수단으로 형식적이고 왜곡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평가도 많았다.

 

그 사례로서 보람 있는 봉사활동보다는 쉽고 시간 많이 주는 봉사에 몰리고, 부모가 자원봉사를 한 뒤 학생 이름으로 봉사확인서를 발급받는 편법도 행해졌고, 학교에서 조차 의무시간을 채워주는 경우도 있었다.

 

학생봉사활동제도는 교육적 가치로서 뿐만 아니라 자원봉사의 순수성을 훼손하고 있다는 지적이 뒤따랐다.


자원봉사의 어원을 풀어보면 스스로 원해서 하는 자발적인 무보수 활동이다. 올 해 8회째를 맞아 전국의 자원봉사자들과 전문가들이 모여 진행된 전국자원봉사컨퍼런스의 주제는 ‘자원봉사 기본으로 돌아가자(Get back to the basic)’였다.


우리나라 자원봉사운동이 이루어낸 업적은 대단했다. 아직도 잊지 못하는 태안원유 유출 사고 시 자원봉사 120만여 명이 참여했고, 작년 세월호 참사에서도 120만여 명이 전국에서 자발적으로 모여들어 헌신했다. 그 외에도 태풍 등 자연재해, 국제행사 때마다 자원봉사자들은 언제나 물결이 일 듯 달려와 감동을 선물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자원봉사 20년의 역사와 자원봉사활동기본법이 제정된 지 10주년을 맞는 해에 왜 이런 성찰의 의미를 담으려 했을까?


언젠가부터 자원봉사의 가치, 정신, 철학 및 문화의 변질 조짐이 나타나고 있고, 형식적·대가적·비자발적으로 변질되면서 자원봉사 정신의 순수성, 자발성, 무보수성이 왜곡되고 있다는 내부 자성 때문이다.


학생봉사활동은 제도화 시기부터 20년을 맞아 제대로 된 내부 자성이 없었고, 노력도 없었으며, 그 결과 낡고 녹슨 교육체제에서 ‘학생봉사’는 ‘억지봉사’라는 오명을 쓰며 쇠락해가고 있다.


지난 7월부터 인성교육진흥법이 도입되었다. 그리고 학교에서 새로운 인성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해야한다. 교육부가 대학입시에서 인성평가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이후 부작용과 논란에 벌써 휩싸이고 있다.


사교육시장에서 내년부터 초·중·고에서 인성교육을 필수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인성지도사 강사가 많이 필요하다는 식으로 학원생을 모집하는가 하면,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는 단기간에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해주겠다며 자격증 취득 열풍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한다.


학생봉사활동 의무화와 입시반영이 ‘점수따기식’으로 왜곡되었던 것처럼 인성교육이 새로운 시대로 명칭을 변경하여 낡고 녹슨체제가 했던 과거를 따라갈 가능성이 높다.


인성교육은 ‘길들이기식’ 평가 경쟁시스템으로 실현될 수 없다. 교육시수에서 몇 시간 보장한다고 해서 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모든 수업과정이 인성교육의 장이 되어야 한다. 물 흐르듯 관계하는 존재들이 만나서 상호 협력과 공존이 촉진되는 교육요소가 되어야 한다.


이것이 교육의 기본이 되어야 한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