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광주시, 군 공항 이전 사업 시동 거는데

입력 2018.12.18. 15:08 수정 2018.12.18. 17:48 댓글 0개
유력 후보지 무안은 군수까지 나서 반대
올해까지 예비 이번후보지 선정 계획 차질 불가피
일각에선 2021년 민간공항 이전 합의도 삐걱 우려
정종제 광주시 행정부시장이 18일 오전 시청 3층 협업회의실에서 열린 ‘광주 군공항 이전 자문위원회’에 참석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광주시 제공

광주시와 전남도의 상생현안인 군 공항 이전 사업이 예비 이전후보지들의 반발로 장기화될 조짐이다.

광주시가 군 공항 이전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군 공항 이전 자문위원회’를 구성, 첫 회의를 개최하는 등 군 공항 이전사업에 시동을 건 와중에 유력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무안군은 군수까지 나서 광주 군 공항 이전 반대를 공식화 하는 등 엇갈린 행보를 보이고 있다.

늦어도 올해까지 예비 이전 후보지를 선정하겠다는 광주시와 국방부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8일 광주시에 따르면 이날 시청 3층 협업회의실에서 ‘군 공항 이전 자문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예비 이전 후보지 선정 절차와 향후 계획 등을 공유했다.

이날 꾸려진 군 공항 이전 자문위원회는 교통 및 공항, 도시계획, 이전지역지원, 갈등관리, 홍보 등 7개 전문 분야별 전문가, 시의원, 대학교수, 언론인 등 총 18명이다.

광주시는 앞으로 국방부에서 예비 이전후보지를 선정하면 해당 지자체 위원 7명을 추가해 총 25명으로 자문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는 일종의 상견례 격으로 정종제 행정부시장 등 15명의 자문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군 공항 이전사업에 대한 설명과 질의응답 등으로 진행됐다.

자문위원회는 앞으로 군 공항 이전 사업계획 수립, 주민 이주대책, 갈등관리, 주민 소통 및 홍보계획 수립 등에 자문 역할을 맡게 된다.

그러나 광주시의 이같은 기대와는 달리 군 공항 예비 이전후보지 지역 주민들의 반발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특히 유력 후보지 가운데 한 곳인 무안군은 군 의회와 민간단체에 이어 군수까지 나서 조직적으로 반대운동을 예고하는 등 지역간 갈등마저 우려되고 있다.

김산 무안군수는 이날 오전 열린 무안군의회 정례회 본회의에서 “무안군민을 평생 전투기 소음에 시달리며 살도록 할 순 없다”며 광주 군 공항의 무안 이전 반대를 공식 선언했다.

김 군수는 특히 “내년 조직개편을 통해 현재 TF팀으로 구성된 군 공항 대응업무를 정식 기구화하고 전투기 소음실태와 피해조사를 위한 용역에 나서는 등 체계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까지 밝혔다.

그는 “군 공항은 한번 이전하면 재이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무안군의 미래발전을 위한 핵심 전략지역에 군 공항이 있어서는 안된다”며 “군민들이 겪게 될 피해는 무안군과 군민이 평생 안고가야 할 숙제가 될 것이다. 갈등과 분열을 일으킬 수 있는 이전 논의 자체도 수용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김 군수는 지난 8월 광주시와 전남도 사이에 체결한 오는 2021년까지 광주 민간공항 이전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무안국제공항 활성화 협약에 참여한 인사여서 그 파장이 더욱 클 전망이다.

국방부·광주시·전남도·이전 대상 지자체가 참여하는 4자 논의기구 구성계획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일각에서는 김 군수의 반대 입장 표명이 민간공항 이전 계획에까지 악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무안군의회 역시 ‘이전반대 결의안’ 채택과 특별위원회 구성에 이어 이날 ‘군 공항 이전 대응지원 조례안’을 통과시켰다. 망운면을 비롯한 각 읍면 반대 대책위원회의 활동도 본격화되고 있다.

정 행정부시장은 “군 공항 이전 자문위원회가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돼 합리적인 사업 추진과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군 공항 이전 사업이 광주·전남이 상생 발전하는 방향으로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5조7천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2022년까지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15.3k㎡(463만평)의 신공항을 건설해 광주 군 공항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이중 이전 주변지역 지원예산이 4천508억원이다.

국방부 분석결과 군 공항이 이전하면 해당지역은 6조5천억원대의 생산·부가가치 유발효과와 3만6천여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전망됐다. 군인과 군무원 가족 등 1만여명(상주인구 3천여명)이 유입돼 인구증가 효과도 큰 것으로 조사됐다.

김대우기자 ksh430@srb.co.kr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