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방뉴스

유아영재성 계발에 왜 언어사고력이 중요한가?

입력 2015.06.10. 08:28 수정 2015.06.10. 08:44 댓글 0개
송문정 교육칼럼 와이키즈 광주 봉선센터장

▶말을 잘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주변의 유아들을 찬찬히 둘러보면 대개 말을 야무지게 잘하는 아이가 아주 똑똑하다.

 

말을 잘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첫째, 말을 잘한다는 것은 아이의 머릿속에 많은 개념들이 형성되어 있다는 뜻이다. 삼각형이란 말을 듣도 보도 못한 아이의 머릿속에 삼각형의 개념이 형성되어 있기는 쉽지 않다.

 

어휘를 획득한 경우, 단지 말을 내뱉을 뿐만 아니라 그 개념이 머릿속에 정립된 경우, 그 개념을 자기 것으로 획득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아이의 사고력을 길러 주고 싶다면 반드시 아이가 사용하는 어휘의 폭과 넓이를 확장시켜 주어야 한다.

 

수학을 가르치든 과학을 가르치든 언어가 기반이 된다. 정확한 수학적·과학적 개념을 이해하는 데서 출발하여, 수학적·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에도 어휘력은 중요한 토대가 된다. 이것이 발표와 토론으로 이어지면서 초등학교 입학 후에는 수업 시간에 아이가 돋보이게 될 것이다.

 

둘째, 말을 잘한다는 것은 말을 하기 전에 이미 자기의 생각이 머릿속에 정리되어 있다는 뜻이다.

 

자기 생각 없이 남의 말을 앵무새처럼 반복적으로 되뇌기만 하면, 금방 그 밑천이 떨어지고 말의 중심이나 흐름 없이 중언부언하게 된다. 말을 잘한다는 것은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인데, 소통되지 않는 말은 의미가 없다.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자신의 언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말 잘하는 아이, 자기 생각이 분명한 아이로 자랄 수 있도록 언어 자극을 풍부하게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말을 잘한다는 것은 생각이 정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의 주장이 분명하다는 뜻이다. 관점이 정리되어 있다는 의미인 것이다.

 

물론 말은 굉장히 조리 있게 잘하는데 자기주장이 없다면 헛똑똑이로 자랄 가능성이 있다. 학교공부는 아주 잘했는데 사회생활이 잘 안되는 어른들이 간혹 있는데 비슷한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자기 관점을 가지려면 어떤 경우라도 관점을 세워 생각하고 주장하는 경험을 많이 해야 한다. 식탁에서의 가족 간 풍부한 대화와 토론, 또래집단 토론의 경험 등이 중요한 이유다.

 

유아 때부터 일상적인 주제를 놓고 토론해 보는 경험을 많이 하고, 많은 책을 읽게 하고 그 내용에 대해 관점을 세워 토론해 보는 경험을 많이 해보아야 한다.

 

유아 때는 말 잘하는 아이가 똑똑한 아이다. 말을 많이 하는 아이가 아니라, 말을 잘하는 아이 말이다. 한마디를 해도 맥락을 따라 자기 생각을 담아 관점을 세워 말하도록 해야 한다.
 
▶유아기 언어교육이 왜 중요한가?


 

왜 유아기의 언어교육이 특별히 중요한 것일까?

 

첫째, 유아기는 언어가 폭발적으로 발달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신생아 때 말을 한마디도 못하던 아기가 10개월을 전후하여 “엄마마마, 아빠빠빠” 하다가 돌이 지나며 한두 마디 언어를 구사하고 점차 많은 문장을 구사하며 어휘력을 키워 간다. 이후 세 돌이 지나고 유치원 갈 때가 되면 청산유수로 종알종알 이야기를 풀어낸다.

 

0세부터 6세까지와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는 같은 6년이지만 언어발달의 폭은 유아기 때가 가히 폭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언어교육이 더욱 중요하다. 가장 풍부한 언어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 시기가 바로 유아기다.

 

둘째, 가장 중요한 이유는 언어발달이 사고발달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말은 생각을 담는 그릇이다. 언어를 통해 사고를 표현한다. 언어학자 할리데이(Halliday)는 ‘언어학습(learning language)은 사고(의미)를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learning how to mean)’이라고 정의했다.


사고의 과정과 언어의 연계성을 보면, 1) 지각단계에서의 언어 2) 개념화단계에서의 언어 3) 명제단계에서의 언어 4) 텍스트단계에서의 언어로 발달해간다.


지각단계에서 유아는 교사의 발문에 따라 삼각형 그림을 보고 삼각형 교구를 만지고 관찰하면서 삼각형을 지각한다. 교사의 말은 이해의 방향과 내용을 조종하는 전략적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교사의 다양한 개방형 발문이 유아의 지각을 폭넓게 유도해 준다.


개념화단계에서 유아는 ‘삼각형’이라는 어휘를 배우며 삼각형을 머릿속에 개념화하게 된다. 지각된 개인의 경험이 상징적 표상으로 변형되는 과정이 개념화다.


교사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사적개념이 공적개념으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명제단계에서 유아는 ‘삼각형에는 3개의 변이 있다’ ‘삼각형에는 3개의 각과 3개의 꼭지점이 있다’는 명제를 배운다. 지각단계외 개념화단계를 거쳐 찾아낸 의미들을 서로 관련짓는 단계다.

 

사물을 표상화한 개념이나 기존지식을 연결지어 하나의 명제를 만드는 것이다. 명제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구조(주어+서술어)를 지닌 언어적 의사소통의 최소단위이다.


텍스트단계에서 유아는 삼각형 3형제가 등장하는 동화책을 읽으며 삼각형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 자신만의 상상력을 펼치며 창조적인 의미를 구성하는 단계로까지 나아가게 된다.

 

텍스트는 여러 개의 명제들로 구성된다. 텍스트는 언어구조적(형식적)으로 통일적인 응결성을 갖추어야 하고, 내용적으로 통일적인 응집성을 갖추어야 한다.


응결성(cohesion)이란 ‘나는 넘어졌다. 그래서 다쳤다’에서 ‘그래서’라는 장치를 통해 두 문장이 ‘형식적으로’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형성했다는 의미다.

 

응집성(coherence)이란 두 문장간의 ‘내용적’ 관계성을 가리킨다. 이 텍스트단계에서 유아는 창조적 의미구성의 사고를 통해 언어의 명료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