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광주도시철도 2호선 ‘돌고 돌아 제자리’

입력 2018.11.11. 18:28 수정 2018.11.12. 08:18 댓글 0개
건설 찬·반, 사업 백지화 등 16년 논란
공론화 숙의 프로그램 통해 건설 추진
광주도시철도공사 제공

건설을 하느냐, 마느냐부터 지상이냐, 지하냐 등 16년간 이어져 온 광주도시철도 2호선을 둘러싼 논란이 결국 원안대로 추진된다.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이 현재의 기본틀을 갖춘 것은 민선 3기 박광태 시장 시절인 2002년 10월이다.

지난 1994년 3월 1호선과 함께 기본계획 승인을 받았던 2호선은 8년만에 건설교통부로부터 도심 순환선을 골자로 한 기본계획 변경 승인을 받았다.

당초 27.4㎞, 정거장 34곳의 지상고가 순환형으로 고시됐으나 2005년 5월, 2010년 9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두 차례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친 뒤 22㎞에서 다시 41.7㎞로 총연장이 고무줄처럼 줄었다, 늘었다를 반복했다.

지난 2011년 11월 확대순환선으로 국토교통부가 다시 변경승인을 하면서 현재의 길이로 확정됐다. 건설 시기도 당초 2004~2009년이던 것이 2008~2019년으로 바뀌었다가 최종 2018~2025년으로 확정됐다.

총사업비 역시 2002년 1조3천375억원이던 것이 2005년 9천444억원으로 확 줄었다가 다시 2010년 총길이가 두 배 가량 늘면서 1조7천394억원으로 급증했다가 2017년 1월, 2조579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

건설 방식도 정치적 환경에 따라 격변했다.

실제 2005년 민선 3기 박광태 시장 당시 지상고가로 정해졌으나, 논란만 되풀이되다 민선 5기 강운태 시장 때 재검토 과정을 거쳐 2011년 11월 기본계획이 변경됐고, 2013년 12월에는 지상고가에서 지하 저심도로 기본개념이 180도 바뀌었다.

뒤이어 취임한 윤장현 시장 임기에는 막대한 사업비에 따른 재정 파탄 등을 이유로 또 다시 전면 백지화를 염두에 둔 재검토에 들어가면서 기본설계 용역이 중단됐다가 지역 경제 순기능 등을 앞세운 ‘건설 찬성론’에 밀려 2014년 12월 “원안 건설”을 선언하면서 도시철도 논란에 다시금 불이 붙었다.

2015년에는 푸른길 훼손 논란이 불거지면서 시민단체가 공사계획 재수립을 요구했고, 이에 시는 ‘사업비가 늘어난다’는 이유로 같은 해 3월, 기본설계 용역을 중단했다.

이후 시는 2016년 2월 사업을 재개하면서 설계 과정에서 3천억∼4천억원에 달하는 추가비용이 발생하게 되자 ‘원안(지하) 중심형’, ‘지하+노면 조합형’, ‘노면 전차(트램)’, ‘모노레일 중심형(모노레일+노면)’, ‘원안 고수형’ 등 5가지 안을 제시한 뒤 3개월 간의 숙고 끝에 첫번째 안을 최종 선택했다.

건설 방식을 두고 되풀이 된 논란이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 것이다.

민선 7기 취임 초반 ‘찬바람 불기 전 해결하겠다’는 이용섭 시장의 발언이 전해지면서 이 시장의 공약이던 공론화 무용론과 백지화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결국 시민을 중심에 둔 행정 구현 차원에서 공론화가 추진됐고, 시민참여 숙의형 공론화를 통해 시민적 대의를 이끌어냈다는 평이다.

앞서 지난 9~10일 1박2일 동안 합숙토론 등 건설 찬·반 공론화 숙의프로그램 후 실시된 시민참여단 243명에 대한 설문 결과, ‘건설 찬성’이 191명(78.6%)으로 ‘건설 반대’를 선택한 52명(21.4)%보다 139명(57.2%포인트) 높았다. 김현주기자 5151khj@hanmail.net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