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칼럼> 소프트파워와 융합교육

입력 2020.09.15. 11:14 수정 2020.09.20. 19:57 댓글 1개
김경수 아침시평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교수
김경수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미디어예술공학전공 교수
김경수

"4차산업은 소프트웨어에서 시작된다(Thomas Frey)", "미래는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장악할 것이다(Mark Andreessen)."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에 대한 미래학자들의 주장이다. 여기에서 발생하는 영향력과 힘을 '소프트파워'라고 한다. 구글, 유튜브, 페이스북, 트위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기업들은 소프트웨어로 수익모델을 만들고 관련 산업군을 블랙홀처럼 흡수하며 막대한 수익을 창출한다. 이들의 특징은 자동차, 선박과 같은 제조공장이 없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공정과 유통이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해외수출을 위한 거점 공장이나 마케팅 지점이 필요 없다. 공장이 없으니 외국에 세금을 낼 이유도 없다. 물론 컴퓨터와 서버 등의 하드웨어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그것은 일부일 뿐, 다수는 소프트웨어로 작동한다. 예컨대 1960년대 F-4 전투기의 소프트웨어 비중은 8%였지만, 2010년대 F-35 전투기의 소프트웨어 비중은 90%대로 증가하였다. 스마트폰이라는 하드웨어는 하나이지만, 앱(App: Application)과 게임이라는 소프트웨어는 무궁무진한 것이다.

소프트웨어의 대명사로는 택시가 한 대도 없는 세계적인 택시 앱 우버(Uber)와 호텔이 한 곳도 없는데 숙박업계의 세계 1위 앱인 에어비엔비(Airbnb)가 거론된다. 국내에는 '국민 앱' 카카오톡이 있다. 2010년 카카오톡이 출범할 당시, 국내 포털의 1위는 네이버였다. 그때도 지금도 네이버는 국내 포털의 절대강자다. 그런데 카카오는 네이버와 경쟁하지 않는다. 그들은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특성화로 차별화했다. 끊임없는 혁신을 거듭한 결과 게임, 커머스,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의 접목을 통해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했다. 특히 라이언, 무지, 프로도 등의 카카오프렌즈라는 캐릭터 라이선스를 통한 온·오프라인의 융합 상품은 네이버가 따라올 수 없는 카카오만의 영역이다.

카카오의 혁신은 여기에서 멈추지 않았다. 2017년 전통적인 금융업계의 관행을 깨고 카카오뱅크를 설립하였다. 단 한 곳의 은행지점이 없는 카카오뱅크는 올해 1분기에만 18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다. 이것은 모바일 금융 서비스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 융합 사례이다. '세계미래보고서 2055'에 따르면 구글, 삼성, 애플 등의 글로벌 기업이 소프트웨어에 10조원 이상의 투자를 한다. 이것은 소프트파워에 대한 미래와 전망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우리의 대학과 기관들은 소프트웨어보다 하드웨어 분야에 치우친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지난 50여 년간 대한민국의 주요산업이 자동차, 철강, 조선업, 반도체 등 주로 하드웨어 산업에 대한 의존이 익숙해져있기 때문이다.

오바마 전 대통령이 수차례 언급했듯이 대한민국의 교육열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그런데 노벨상이나 세계대학 평가에서는 이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그 이유는 우리의 뿌리 깊은 교육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 부모와 학생들의 꿈은 '명문대 진학'이고, 이를 위한 교육목표는 '대학입시'이며, 그 대상과 방법은 '국·영·수'와 '수능과 내신'이라는 현실. 이를 두고 미래학자 앨빈토플러는 '21세기 한국비전'에서 "한국의 학생들은 하루 15시간 동안 학교와 학원에서 미래에 필요하지 않을 지식과 존재하지도 않을 직업을 위해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고 충고했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융합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들은 수상소감에서 공통적으로 창의적인 융합 연구에 수십 년 이상 몰두했다고 회고한다. 창의적인 연구이기에 융합할 수밖에 없고 오랜 시간 한 우물을 팠기에 차별화된 성과를 달성한 것이다.

최근 학문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융합교육이 학문과 학문의 무조건적인 결합만을 의미하지 않을 것이다. 세상의 이치는 어울리는 것이 있고 어울리지 않는 것도 있는 법. 융합의 우선순위는 인접 학문이 먼저이지, 원거리의 학문이 먼저가 될 수 없다. 시대적 대세라고 해서 무조건 융합하는 것도 사리에 맞지 않다. 50대 50의 융합도 있지만, 90대 10의 융합도 있다.

4차산업 시대에 융합을 바라보는 관점은 ICBM(사물인터넷·클라우드·빅데이터·모바일)과 AI(인공지능) 등 기술혁신에 따른 산업과의 융합, 인더스트리 4.0과 같은 스마트팩토리와의 융합, 5G 등 통신혁명에 따른 초연결사회와의 융합 등 다양하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결국 사람이 주도하고 그 근간은 교육(敎育)이다. 가르치고 육성하는 일, 이것은 교육기관은 물론 관련 기관의 리더들이 소프트파워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융합교육에 대한 관심을 갖는 일, 그리고 청년의 눈높이에 맞는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고 동기부여를 하는 일, 즉 교육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 이건어때요?
댓글1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