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뛰는 전셋값, 나는 집값"···수도권 아파트 전세가율 6년 만에 최저

입력 2020.09.11. 06:00 댓글 0개
전셋값 '상승' 전세가율 '하락'…집값 급등에 따른 '착시'
사전청약 대기수요 유입…하반기 전세가율 다시 반등
[서울=뉴시스] 박민석 기자 =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2020.09.05. mspark@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2014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는 전셋값보다 집값이 상대적으로 더 큰 폭으로 상승한 것에 따른 것이다. 하반기부터 전셋값 강세가 예상되면서 전세가율이 다시 반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7월 수도권 전세가율은 전월보다 0.3% 하락한 65.5%로 집계됐다. 이는 2014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전월(65.8%) 대비 0.3% 하락한 65.5%를 기록했고 ▲지방 74.6% ▲5대 광역시 72.1% ▲9개도 73.2% ▲8개도 77.5%를 각각 나타냈다. 전국적으로 전세가율이 하락하는 가운데서도 일부 지역은 80%를 넘는 곳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광역시·도 중 전세가율이 80%를 넘어선 시군구 지역은 총 27곳으로 나타났다. 이 중 상위 10곳은 ▲강릉시(86.5%) ▲무안군(86.3%) ▲청주시 서원구(84.7%) ▲춘천시(84.6%) ▲보령시(84.6%) ▲전주시 완산구(84.6%) ▲전주시(83.8%) ▲구미시(83.8%) ▲창원시 마산회원구(83.4%) ▲광주시 북구(83%) 등 지방을 중심으로 전세가율이 높았다.

반면, 전세가율이 가장 낮은 10곳은 ▲용산구(45.8%) ▲강남구(47%) ▲송파구(48.3%) ▲세종시(48.8%) ▲과천시(50.1%) ▲서초구(52%) ▲광명시(53.6%) ▲강동구(55%) ▲마포구(55.1%) ▲구리시(56.1%) 등으로 나타났다.

전세가율은 주택시장 가수요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다. 주택업계에서는 전세가율이 통상 50~60%대면 주택임대시장이 냉각기에 접어드는 것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현재 전세가율이 60%대로 떨어졌다고 하더라도 주택임대차시장이 안정됐다고 판단하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전셋값과 집값이 비슷하게 조정되면서 전세가율이 하락한 게 아니라 집값이 전셋값보다 더 많이 뛰면서 전세가율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전세가율 하락은 지난해부터 급등한 집값이 만든 착시 현상이라는 얘기다.

[서울=뉴시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3주 연속 '0.01%'에 머물며, 보합권 내에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감정원에 따르면 올 들어 전국 집값은 35주째 상승했다. 지난 2017년 12월 첫주 집값을 100으로 환산한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로 봤을 때 올해 1월 첫째 주는 98.1에 머물렀으나,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며 지난달 다섯째 주 기준으로 101.85를 기록했다. 현재 상승폭이 줄었으나 여전히 강보합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이 임대차 보호법 시행 등으로 57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며 불안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값 동향'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16%로, 지난주와 같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코로나19가 확산한 올해 3∼5월 주간 기준으로 0.10% 이내로 상승하다가 6∼7월 상승폭을 키웠고, 임대차 보호법 시행 직후인 8월 첫째 주에 0.22%까지 올랐다. 이후 상승폭이 둔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상승세다.

특히 용인 기흥구(0.48%→0.45%)와 수원 권선구(0.61%→0.45%), 광명시(0.44%→0.43%) 등이 상승세를 주도했다. 또 사전청약 지역인 인천 계양(0.05%→0.22%)과 성남 수정(0.23%→0.24%), 고양 덕양(0.29%→0.27%), 남양주(0.19%→0.18%) 등도 상승했다.

올해 하반기 이후에는 전세가율이 다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하반기 3기 신도시 등 수도권 사전청약 시행을 앞두고 매매 대신 전세를 택하는 청약 대기수요가 전세시장으로 유입되면서 가뜩이나 부족한 아파트 전세 시장에 수급불균형이 심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임대차 보호법과 0%대 초저금리 장기화, 재건축 조합원 2년 실거주 의무 영향 등으로 전세 매물은 갈수록 더욱 줄어들고 있다. 반면, 내년 7월부터 2022년까지 3기 신도시와 수도권 주요 공공택지에서 공공분양 아파트 6만 가구에 대한 사전청약으로 청약을 기다리는 대기수요가 늘면서 전셋값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전셋값을 결정짓는 또 하나의 변수인 신규 공급 물량도 갈수록 줄어든다. 내년부터는 신규 아파트 공급 물량이 대폭 줄면서 전세난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내년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은 13만6336가구로, 올해 입주 물량 18만7991가구보다 5만여 가구 줄어든다.

전문가들은 올해 하반기 전세 수요 증가로 전셋값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전셋값보다 집값이 더 큰 폭으로 오르면서 전세가율이 낮아진 것"이라며 "단순히 전세가율이 낮아진 것으로 주택임대시장 안정을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초저금리와 정부 규제,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대기수요 등의 영향으로 전세수요가 늘면서 전셋값 상승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올 하반기부터 전셋값 강세가 예상되면서 전세가율이 다시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ky032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건어때요?
댓글0
0/300